국보 24호이자 국내 첫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경주 석굴암이 1964년 복원공사를 마치고 준공된 지 올해로 반세기가 됐다. 다음달 1일이면 정확히 50년이 된다. 하지만 복원공사 후 지속적으로 `원형 논쟁`이 제기되면서 수많은 논란거리를 낳았다. 원형 논쟁 가운데 대표적인 게 일반인들도 학계의 정설처럼 받아들이는 `일출 신화`다. 석굴암이 마주한 동해에서 떠오르는 아침 햇살이 석굴 내로 수렴돼 본존불의 얼굴을 비추게 설계됐다는 주장이다. 이런 이유로 석굴암의 원형은 전각이 없고(개방구조설), 주실 돔 지붕 앞에 원래 햇살을 받아들이는 채광창이 있었다(광창설)는 갖가지 설들이 제기돼 많은 이들에게 지지를 받아 왔다. 하지만 재야사학자인 성낙주 석굴암 미학연구소장은 이 같은 쟁점 하나하나에 매스를 들이대며 "그동안 석굴암이 자리한 토함산의 현실과 건축 원리에 어긋난 견해들이 석굴암의 진면목을 가려왔다"고 지적한다. 석굴암 관련 원형 논쟁을 20년 동안 분석해 총정리한 책 `석굴암, 법정에 서다`(불광출판사)를 통해서다. 성 소장은 25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1970년대 처음 제기된 한 학자의 주장이 어떻게 학계에 빨려들어가듯 인정이 됐는지 이해할 수 없다"면서 "당시 해방 후 민족의 자신감을 찾기 위한 사회적 분위기 때문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구한말이었던 1909년 훼손된 석굴암 사진으로 시작해 일제 총독부가 석굴암을 전면 해체해 재조립한 1915년 보수 공사를 거쳐 전실을 확장하고 전각을 세운 1964년 복원까지 문헌과 사진자료를 내놓으며 `일출 신화`를 반박했다. 성 소장은 "1년 중 134일 동안 비가 오고 110일 동안 결빙이 생기는 석굴암의 기상 여건을 고려하면 전각이 없이 개방된 구조라는 건 상식적으로도 말이 되지 않는다"면서 "그동안의 논쟁은 대부분 토함산의 현실을 무시한 환상과 신비주의의 부산물로 학술적 요건을 갖추고 있지 못하다"고 일축했다. `일출 신화`는 일본인들이 만들어낸 달콤한 문화식민사관의 하나라는 주장이다. `일출 신화`에서 파생된 `광창설`과 햇살을 차단하려고 신사의 도리이를 본따 얹었다는 `홍예석 철거론`, 석굴암이 석굴사원이 아닌 그리스나 로마의 신전과 비슷한 건축물로 여기는 `석조신전설`도 하나하나 해체해 반박했다. 성 소장은 책에서 법당 밑으로 샘물이 흘러 실내의 결로를 방지했다는 `샘물 위 축조설`에 대해서도 "반과학적인 신비주의적 발상"이라고 꼬집는다. 이날 성 소장은 1961년 박정희 전 대통령의 지시로 대대적인 보수공사가 착수했다며 정치적 동기를 제기하는 일각의 주장도 사실과 다르다는 증거도 내놓았다. 그는 박 전 대통령이 5.16 군사 쿠데타를 일으키기 3개월 전인 1961년 2월 당시 문교부가 작성한 `석굴암 석굴의 현황과 보수대책`(안)을 내보이며 "당시 민주당 정권이 모든 공사와 대책을 세워 놓은 상태였다"고 설명했다. 물론 성 소장 역시 1964년 보수공사 당시 석굴암의 안전을 담보할 기술 부재로 일제가 덮어 놓은 시멘트 두겁을 제거하지 못하고 2차 콘크리트 두겁을 덧씌운 만큼 수명이 다하기 전에 원형 복원 연구가 필요하다고 인정한다. 성 소장은 "즉흥적인 가설이 어떻게 학문적 진실로 받아들여질 수 있었는지 보수공사 후 50년 동안의 모든 논쟁을 담으려고 했다"면서 "이제라도 석굴암 연구가 원형논쟁 늪에서 벗어나 새로운 의제 설정으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석굴암에 얼마나 가 보았느냐는 질문에 그는 "100번 넘게 가보았다면 믿을 것이냐"고 반문하면서 "차로 접근이 어려운 시절 겨울에 걸어서 올라 스님의 허락을 얻고 석굴암에서 잠을 잔 적도 있다"고 소개했다. 동국대 국문학과를 졸업한 성 소장은 현재 서울 온곡중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석굴암을 소재로 한 소설을 구상하던 중 기존 학계의 석굴암 인식에 의문을 품고 연구한지 20여년이 됐다. 2009년 석굴암의 근대사 100년을 돌아보는 사진전 `석굴암 백년의 빛`을 열었고 1999년 출간한 `석굴암, 그 이념의 미학`은 우수도서로 선정되기도 했다. 성 소장은 "올해가 석굴암 보수공사 50주년이 되는 해인데도 그 흔한 학술대회조차 없다"면서 "한때 `일출 신화`를 정설처럼 얘기하던 학자들이 반론을 인정하지 않는 건 너무 와 버려 퇴로가 없어졌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