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대기 중의 유해 중금속이 세계보건기구(WHO) 권고기준의 20% 수준에 머물러 서울지역 27%에 비해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 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매월 공업지역, 상업지역, 주거지역 2곳 등 도심 4개 지역을 대상으로 대기 중 미세먼지에 함유된 유해 중금속(비소, 카드뮴, 망간, 니켈, 납) 오염실태 조사 결과, 전체 평균오염지수가 0.20(기준 1.00)으로 나타나 안전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별로는 공업지역(이현동 0.36)과 상업지역(수창동 0.18)이 주거지역(지산동 0.13, 대명동 0.14)에 비해 중금속 오염도가 2배 전후로 높았으며, 이는 대기배출업소ㆍ차량통행량 밀집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계절별로는 봄철(0.27)과 겨울철(0.27)이 여름철(0.14)과 가을철(0.13)에 비해 중금속 오염도가 2배나 높았다.
이는 강수량 감소와 난방용 연료사용량ㆍ자동차배출가스ㆍ연무발생 증가 등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김종우 시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시민들이 중금속 오염을 줄이기 위해 대중교통 이용을 생활화하고, 승용차 이용 시에는 공회전ㆍ급출발ㆍ급가속ㆍ급정지 안하기 등의 오염 저감 활동에 적극 협조해 줄 것”을 당부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