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담화를 무력화 하려는 일본 정부에 대응해 일본군 위안부 실태 백서(白書) 발간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정부 당국자는 이날 오후 외교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일측의 고노담화 훼손 기도와 관련한 우리 정부의 대응책을 설명하며 이같이 전했다.
백서 발간은 민간 연구기간과 합동으로 진행되게 되며, 조만간 백서 발간을 위한 1차 협의가 있을 예정이다.
백서 발간은 정부 공식 문서 형식으로 위안부 관련 실태를 총정리, 이를 국내외에 공인하는 효과를 낳은 의미를 지닌다.
정부는 지난 1993년에도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중간 보고서` 형태의 자료를 발간한 바 있다.
정부는 또 국제사회에서의 민간단체와 함께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홍보전을 치밀하게 펼쳐간다는 방침이다.
특히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증명할 수 있는 추가적인 자료가 중국에 있을 가능성이 높은 만큼 민간 차원의 한중 간 협력도 직·간접적으로 활용한다는 복안이다.
2차 세계대전 종전 전후로 일본이 위안부 관련 자료를 조직적으로 폐기하는 등 추가적인 증거자료 확보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따르는 만큼 중국에 있는 자료 확보를 위해 민간 기관과의 협력이 불가피한데 따른 것이다.
당국자는 "동북아역사재단의 전문가들이 최근 중국 지린성 출장을 다녀왔다"며 "민간 전문가들이 자료에 접근, 연구작업을 하면서 위안부 문제 실태에 대한 진상조사를 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정부는 일본 내 양심세력은 물론 국제사회 일원들과 연대해 일본 정부가 최근 발표한 고노담화 검증 결과가 담화의 신뢰성을 훼손하려는 시도라는 점을 적극 전파해 나갈 계획이다.
앞서 외교부측은 전날 미국 연방상원의원 3명이 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촉구하며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게 보냈던 공개서한의 사본을 위안부 피해자 시설인 `나눔의 집`에 전달하기도 했다.
정부의 이같은 적극적 대응은 일측이 이번 고노담화 검증 결과를 가지고 국제사회에서 대대적인 홍보에 나설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이다.
이번 담화검증 결과 발표에 앞서 일측은 이미 영문판 검증결과를 별도로 작성하는 등 국제여론전까지 준비해왔다.
또한 일측의 고노담화 검증이 "고노담화를 부정하려는 것이 아니다"라는 일본 정부의 당초 설명과는 달리 사실상 담화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건드리고 있는 등 담화를 부정하려는 의도가 깔려있는 것으로 볼 수 밖에 없다는 게 정부의 입장이다.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국제적 여론이 일본 보다는 한국에 기울어 있는 상황에서 일본의 이같은 고노담화 훼손 기도에 `맞불 작전`으로 맞설 경우 일본이 손해라는 인식을 확실히 심어줄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앞서 조태용 외교부 제1차관도 이날 벳쇼 고로(別所浩郞) 주한 일본 대사를 외교부로 불러들여 "아베 정부가 고노담화를 흠집내려 하면 할수록 오히려 아베 정부의 신뢰성과 국제적 평판만 상처입게 될 것이란 점을 분명히 알아야 할 것"이라며 일본 정부에 경고했다.
조 차관은 최근 일측의 담화 검증 발표에 대해 국제적 언론보도는 일본 언론들까지 "이번 검증결과 발표는 고노담화를 무실화시키려는 것"이라고 전하고 있는 점을 지적하고 "진정으로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면, 무의미하고 불필요한 검증작업을 중단하고 위안부 문제의 진상을 철저히 규명해 고노담화의 부족함을 보완하는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뉴스1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