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에서 자연적으로 생산된 먹을거리가 최고이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잡기만 한다면 어느 정도의 한계가 따르기 마련이다. 또한 자연재해도 이 같은 한계를 부추긴다.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서는 바다목장 쪽으로 가야 한다. 바다목장은 이 같은 한계를 뛰어넘기에 알맞은 어업이다. 그러니 앞으로는 어업 정책에서 바다목장으로 선회해야 한다. 더구나 자연 재해로 말미암아 바다 고기가 잡히지 않는다면 어업도 따라서 경기가 바닥을 헤매게 되고 만다. 포항시가 지난해 여름 지역 연안을 급습한 적조 피해를 입은 마을어장 기능 회복을 위해 지난달 29일 전복 종묘 73만 마리를 구룡포읍 하정3리 등 30개 어촌계 마을어장에 방류했다. 이게 바로 위에서 말한 적조 피해의 자연재해이다. 방류한 전복 종묘는 마을어장 자원조성사업비 2억 원과 어촌계 자율관리 공동체 사업비 4억 5천여만 원을 들여 구입했다. 방류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해녀들까지 동원하여 직접 방류했다. 종묘는 국립수산과학원에 의뢰해 건강상태, 질병감염 여부, 종묘의 활력 및 품질상태 등을 사전 조사해 우량종묘만을 골랐다. 방류를 위해 건강검진을 한 것이다. 종묘가 보다 건강해야 바다 또한 건강해진다고 볼 때에 바다건강의 전문가 집단인 국립수산원에서 종묘의 건강까지 체크했다는 것은 아주 바람직한 일이다. 포항시가 지난해 적조피해에 따른 마을어장 수산자원 조기 복원을 위해 올해 사업비 10억을 투입한다. 동해안 특성에 적합한 해삼, 전복종묘 1 50만 마리를 마을어장에 방류할 계획도 세웠다. 포항시 최만달 수산진흥과장은 “앞으로도 수산종묘 방류사업비 확충을 통해 수산자원을 지속적으로 조성해 나가겠다”고 한다. 이 같은 말은 바다목장의 조성이다. 포항시는 바다도시이다. 바다도시가 올해 사업비로 10억 원 정도라면 기껏 이것뿐인가 하는 의문이다. 포항시가 바다목장의 조성 예산을 보다 확충해야겠다. 더군다나 바다목장도 하나의 관광 상품이다. 바다목장의 조성으로써 바닷물고기도 키우고 나아가서 관광 상품까지로 간다면 포항시의 경기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게다. 그러니 포항시가 더욱 바다목장 조성에 온 행정력을 다하기 바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