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렸을 때 진달래꽃을 참꽃이라고 불렀다. 봄이면 지천으로 피던 앞산에 참꽃을 따먹으러 다녔다. 입술이며, 혓바닥까지 파르스름하게 물들 정도로 따먹곤 서로의 얼굴을 보면서 웃고 놀렸다. 참꽃 중에도 약간 흰색 참꽃은 먹지 않았다. 아이들의 무덤가에 피는 꽃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어린 나이로 먼저 세상을 떠나보낸 어머니의 울부짖음이 생각나서 무섭고 슬픈 생각도 들었다. 당시 어버이날 흰 카네이션을 달고 학교에 오는 아이들도 있었다. 어머니가 없어 꽃을 달아드릴 수 없던 아이들, 빨간 카네이션 달고 다니는 날 흰 카네이션은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의 꽃이다. 5월이다. 초봄부터 피던 꽃들은 아직도 진행형이다. 아카시아 나무는 꽃이 주렁주렁 달린다. 초봄의 여린 새순이 온 산을 녹음으로 채우고 숲속의 민들레는 노랑꽃을 피우면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5월이 돼도 세월호 충격은 가시지 않고 있다. 희생된 아이들을 위한 분향소도 전국에 설치돼, 줄을 이은 조문행렬로 인해 계절의 여왕, 가정의 달에 어울리지 않게 숙연함이 서려있다. 구조의 손길을 기다리다 차가운 물에서 희생당한 아이들에게 죄스런 마음이 아닐까 싶다. 지켜주지 못해서 미안하다고, 살아있어서 미안하다는 한결같은 마음으로 우리 모두가 침통해 하고 있다. 전쟁터에서 무사히 돌아오길 바라며 노란색 리본을 나무에 달고부터 가족에게 찾아왔다던 생환의 기적처럼, 오늘도 진도해역에서 들려 올 기적의 끈을 놓지 못한다, 모두가 기적을 기다린다. 이와 같이 5월에 피는 노란 꽃에 대한 관심을 가져 본다. 5월은 어린이날, 어버이 날, 스승의 날과 부부의 날까지 겹친 가정의 달이다. 사람에게 감사함을 기억하는 계절이 5월이라고 한다. 가족이 있어서 보다 행복한 계절이지만 그렇지 못한 응달진 곳도 있음을 되돌아 봐야하지 않을까 싶다. 특히나 5월에 만나는 노란 꽃을 보면 그 해 진도에서 일어났던 참사를 기억할 것이다. 우리들에게는 아이들 모두가 자식이기 때문이다. 차디 찬 바다에 꽃잎을 떨군 아이들과, 어른들이 바르게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두고두고 기억을 해야 할 5월은 잊혀 지지 않을 것으로 본다. 한편 봉화지역에도 진도 세월호 참사 이후 각 관공서마다 희생자들과 실종자 생환을 기원하는 현수막과 청년회의소가 주관해 지난달 28일~5월2일까지 체육공원에 분양소를 설치하고 애도 했다. 박세명 북부1취재본부장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