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는 지난 3월24일 파주를 시작으로 백령도와 삼척에서 차례로 발견된 소형 무인 정찰기 3대가 모두 북한에서 발진한 것을 최종 확인했다고 8일 밝혔다. 국방부는 이같은 내용의 무인기 사건 최종 조사 결과를 이날 발표, "무인기 사건이 북한의 소행임을 과학적 근거로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조사결과 발표에서 "한·미 공동조사전담팀의 비행경로 분석 결과 무인기 3대의 발진지점과 복귀예정지점이 모두 북한 지역임을 확인했다"며 "이는 무인기가 북한의 소행임을 입증할 수 있는 명백한 과학적인 결정적 증거(Smoking Gun)"라고 밝혔다. 군에 따르면 지난달 3월24일 파주에서 발견된 무인기의 발진지점은 개성 북서쪽 약 5km 지점(37.9977N,126.5105E)이며 복귀예정지점 역시 이와 같다. 지난달 3월31일 백령도에서 발견된 무인기의 발진지점과 복귀예정지점은 황해남도 해주 남동쪽 27km 지점(37.8624N,125.9478E)인 것으로 확인됐다. 조사팀은 무인기에 설치된 GPS 설비의 정밀분석을 통해 이같은 좌표가 입력됐던 사실을 밝혔으며 두 무인기에서 확보한 사진을 토대로 입력된 비행계획과 사진촬영 경로가 일치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특히 백령도에서 발견된 무인기의 경우 비행조종컴퓨터에 저장된 최초 50분 동안의 비행기록이 비행계획과 정확히 일치했다고 덧붙였다. 4월6일 삼척에서 발견된 무인기의 경우 북측의 강원도 평강지역 동쪽 17km 지점(38.4057N,127.4785E)에서 발진했으며 복귀예정지점 역시 이와 동일했다. 군은 다만 삼척 무인기가 촬영한 사진을 복구하는 데는 실패해 실제 비행계획과 사진촬영 경로의 일치 여부에 대해서는 확인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삼척 무인기의 경우 지난해 10월4일 심마니에 의해 발견됐으나 심마니가 무인기에 장착된 사진의 메모리카드를 삭제하고 본인이 사용해 사진 복구에 실패했다. 군 관계자는 이와 관련 "메모리 카드가 여러 차례 포맷돼 사진 복구에 실패했다"고 설명했다. 당시 심마니는 메모리 카드에 동해안으로 추정되는 사진이 담겨 있다고 군에 진술했으나 이날 군이 공개한 삼척 무인기의 추정 경로는 동해안이 포함돼 있지 않았다. 이와 관련 군 관계자는 "진술 자체가 확정적이지 않은 부정확한 진술이었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군은 해당 무인기들의 GPS에 기록된 좌표 지점이 모두 북한의 군부대는 아닐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으며 무인기들이 이동식 발사대를 통해 발사됐을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무인기의 추락 원인으로 군은 파주 무인기는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는 고도하락으로 추락했으며 백령도와 삼척 무인기는 모두 연료부족이 원인인 것으로 판단했다. 해당 무인기들이 이번 추락 이전에도 우리측에 대한 정찰 활동을 진행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확인된 사실은 없다"고 밝혔다. 이는 구체적인 사실 여부를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군은 이번 무인기 사건이 명백한 북한의 도발이라 규정하며 강력 대응 방침을 밝혔다. 김 대변인은 "이러한 행위는 정전협정과 남북 불가침 합의를 위반한 것으로 명백한 군사 도발"이라고 규정했다. 이어 "군은 이같은 북한의 도발에 강력하게 대응할 것"이라며 "정전협정에 근거해 유엔사를 통해서도 경고조치를 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군은 앞서 밝힌대로 이번 무인기 사건이 북한의 `새로운 군사 위협`임을 재확인하고 현행 방공작전태세 보완과 대응전력 보강을 추진 중에 있다고 밝혔다. 군은 이와 관련 △전제대 경계 및 대공감시태세 강화 △소형 무인기 탐지 및 식별을 위한 가용 수단 조정·운영 △대공포·육군항공 등 타격태세 유지 등을 시행 중에 있다. 김 대변인은 "향후 대응전력 보강은 우리 지형과 작전환경에 부합한 탐지・타격체계 구축을 위해 대상장비를 면밀하게 검토 중"이라며 "중요지역에 대해서는 탐지·타격이 가능한 통합체계를 긴급전력으로 최우선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1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