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가 침몰이 된지가 벌써 보름이 가까워지고 있으나 실종자 구조가 난바다의 세찬 바람과 유속이 빨라짐에 따라 우리가 바라는 대로 진행이 되지 못하여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세월호의 사실상 수유주인 유병언 일가의 부동산이 경북지역 곳곳에 있다는 의혹이 현재 하나하나 사실로 밝혀지고 있다. 이런 땅을 모두 찾아서 이번 참사에서 보상을 해야 한다는 여론이 비등하고 있다. 또한 구조에 든 모든 비용을 이들에게 부담시켜야 한다는 여론도 일고 있는 판이다. 또한 이들의 일가가 어떻게 이 같은 부동산을 소유하게 된 모든 과정의 불법 여부에 대한 것들도 검찰의 철저한 수사가 다 밝혀내야 한다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세월호 선사인 청해진해운의 오너인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 일가가 경북지역 곳곳에 막대한 규모의 땅과 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점차 드러나고 있다. 검찰과 금융당국 등이 유 전 회장이 숨겨놓은 재산을 낱낱이 찾기 위해 ‘저인망식’ 조사를 벌이고 있다.
현재까지 밝혀진 부동산을 보면, 유 전 회장 일가는 2003년부터 경북 청송군 현서면 보현산 일대 99만㎡에 보현산영농조합법인을 운영하고 있다.
유 전 회장 측의 계열사 자금이 흘러들어간 의혹을 받고 있는 이 영농법인은 기독교복음침례회(구원파) 신도들이 설립한 한국녹색회에서 75억8,000여만 원을 주고 구입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영농법인 설립 당시 한국녹색회는 주변에 철조망을 쳐, 주민들의 접근을 막았다. 그리곤 처리시설을 갖추지도 않고서 가축분뇨를 버려 주민들과 충돌도 빚었다.
당시 주민들 사이에는 ‘유 전 회장 일가가 구원파 왕국을 만들려고 한다’는 소문이 파다했다. 이 소문대로라면 종교 본래의 목적을 떠나 종교를 치부의 도구로 사용했다고 해도 구원파는 그 어떤 해명도 현재로썬 할 수가 없을 게다.
더구나 종교단체가 운영하면서도 가축 분뇨를 마구잡이식으로 버렸다는 것도 종교 본래의 목적으로 볼 때에 도저히 있을 수가 없다. 이때에 관계당국이 철저하게 세월호 등까지로 감독을 확대했더라면 오늘의 참사도 막을 수가 있었다는 생각까지도 미친다.
안동시 길안면의 한 폐교 부지와 3만3,000㎡의 땅도 유 전 회장의 장남 명의이다. 이곳에도 철조망을 쳐 일반인의 접근을 막았다. 재산 형성의 수법이 모두가 철조망식이다. 그러나 철조망이 결코 부동산을 지켜주지 못하는 것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군위군에도 4만5,000여㎡ 규모의 농지 2곳이 유 전 회장 일가 소유이다. 최근에는 경매를 통해 울릉도의 땅을 집중 매입하고 있다. 2009년께부터 매입을 시작한 울릉군 태하리 일대의 땅은 임야와 전답을 합해 10만㎡에 이르고 있다.
청해진해운 지주사인 아이원아이홀딩스의 계열사 중 경북 칠곡에 있는 자동차부품 제조업체인 온지구도 검찰의 수사 대상에 올랐다. 이 업체는 유 전 회장의 장남이 13.87%, 차남이 7.11%, 아이원아이홀딩스가 6.98%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자료에 따르면 온지구는 2012년 16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냈다. 대구은행은 온지구에 3억7,000만원을 대출해줘 금융감독원의 특별검사 대상에서 빠졌다. 그러나 대출 액수가 큰 산업은행, 경남은행, 기업은행, 우리은행 등은 유 전 회장 일가에 불법대출을 해줬는지에 대한 특별검사를 받고 있다.
여기에서 생각하건데 흔히들 말하는 관계당국과의 유착 의혹이다. 유착의혹까지 다 밝혀내야 한다. 유착이 사실로 드러나면 가차 없는 처벌이 있어야 한다. 종교라는 미명으로 재산을 형성했다면 그렇지가 않는 종교를 위해서도 그렇다. 누구든지 재산형성은 투명해야 한다. 투명하지 못한 재산은 사회의 몫이다. 여기에서 사회의 몫이라는 뜻은 이번 참사에서 이 같은 못된 수법의 재산으로 참사를 당한 이들에게 돌려줘야 한다. 우리의 유능한 검찰이 국민의 의혹제기를 다 밝혀주기 바란다. 더하여 유병언 일가의 부동산이 경북지역뿐인가도 다 밝혀내야 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