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3년 농가 경제조사’발표에서 경북도의 농가소득이 2년 연속 최고치를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도의 2013년 농가당 평균소득은 2011년 26,587천원에 비해서는 무려 31%, 2012년 31,739천원보다는 10% 더 증가한 34,894천원으로 지난해에 이어 또 한번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농가소득 중 순수 영농활동에 따라 창출되는 가구당 농업소득은 압도적이다. 2013년 농업소득은 14,226천원으로 전국 평균 10,035천원 보다 42%, 타 지자체와 비교할 때 최고 2배 가까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한민국 제1의 농도(農道)`의 위상을 재증명했다.
또, 가구당 농가부채는 작년 21,831천원보다 4,160천원 감소한 17,671천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국 최저 수준으로서, 전국 평균 농가부채액 27,363천원보다 약 1천만원이 적은 금액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이는 상대적으로 타 지역에 비해 과수, 원예, 특작 등 고소득 작물 재배 농가가 많다는 것도 있지만 ‘함께 잘 사는 농촌’이라는 정책적 비전하에 농가소득의 상향평준화를 목표로 (재)경북농민사관학교를 통해 농가의 기술ㆍ경영 수준을 향상시키고, 지속적인 소득원 발굴과 확충, 농작물재해보험 확대, 농어촌진흥기금 조성 등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어우려져 이번 결과에 반영된 것 같다”며, 덧붙여, “무엇보다도 시장개방, 경영비 상승, 소비위축, 기상재해 등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여건속에 들녘을 지키며 구슬땀을 쏟아 부은 농업인들의 노고가 가장 크다”고 전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