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여객선 세월호 침몰 참사가 발생한 이후 1주일 동안 정치권 역시 큰 충격에 빠진 채 혼돈의 시간을 보냈다. 어린 학생들을 지켜주지 못했다는 자괴감과 비통함에, 지방선거 당내 경선이나 선거운동 등의 정치 일정을 즉각 중단하는 것은 어려운 선택이 아니었다. 다만 참사 1주일을 맞으면서 세월호 실종자 구조 및 사고 수습 작업에 대한 지원과 협력을 계속함과 동시에 정치권이 해야 할 일은 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22일 정치권에 따르면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은 당초 4월 30일까지로 예정했던 4월 임시국회 회기를 5월 초로 연장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다. 세월호 참사 여파로 한 동안 일부 상임위들이 제대로 가동되지 못해 기초연금법 제정안 등 여야가 공감대를 이룬 민생 입법조차도 처리가 지연되고 있는 데 따른 조치다. 여야는 또 이날 세월호 실종자 구조와 무관한 소관 상임위원회들을 적극 가동해 의정 활동에 힘을 쏟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윤상현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일각에서 제기되는 6ㆍ4 지방선거 연기론에 대해선 “지방선거 연기는 없다”고 못박았다. 세월호 참사 1주일 동안 멈춘 지방선거 일정도 기지개를 켜고 있다. 새누리당은 광역단체장 경선 일정을 두 차례나 연기 결정을 내리면서 재개 시점을 논의 중이다. 새정치민주연합 역시 경선 일정을 확정하지 못한 채 추이를 살피고 있다. 여야 주요 광역단체장 후보들은 사고 직후 일제히 사고 현장인 전남 진도로 내려가 구조 작업을 살펴보고 실종자 가족들을 위로했을 뿐 이외에는 어떤 외부 활동도 벌이지 않고 있다. 다만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당내 경선관리를 위탁해야 하는 형편 상 선관위가 최종 시한으로 제시한 4월 30일까지는 되도록 많은 지역의 경선을 치러야 할 필요성이 있어 무작정 경선 일정을 연기하기도 쉽지 않다. 이에 따라 여야 지방선거 예비후보들도 조만간 경선이 재개될 수 있다고 보고 물밑에서 선거운동 재개에 대비하는 모습이다. 한편 이런 전반적인 숙연한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지난 1주일 새 여러 정치인들이 설화(舌禍)나 부적절한 언행으로 도마에 올라 빈축을 샀다. 한기호 새누리당 최고위원은 세월호 침몰 사고와 관련해 자신의 페이스북에 “좌파단체 색출”을 언급해 뭇매를 맞았고, 새누리당 서울시장 경선에 참여한 정몽준 의원은 막내 아들(19)이 “국민이 미개하다”는 부적절한 표현의 글을 페이스북에 올려 논란이 되는 바람에 대국민 사과를 해야 했다. 이날은 권은희 새누리당 의원이 ‘밀양 송전탑 반대시위 참가자가 세월호 실종자 가족을 가장해 선동을 하고 있다’는 내용의 확인되지 않은 글을 자신의 페이스북에 게재했다가 사과 기자회견을 갖기도 했다. 새누리당 서울시장 경선주자인 김황식 전 국무총리 측이 경쟁자인 정 의원의 아들 관련 논란에 대해 일절 언급하지 않는 것도 마찬가지다. 대신 여야는 더 이상의 ‘자살골’을 막기 위해 집안 단속에 부심하고 있다.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이날 당 소속 의원들에게 다시 한번 문자메시지를 보내 “세월호 침몰사고와 관련 희생자와 실종자 가족의 고통과 슬픔을 온 국민이 함께 하고 있다”며 “의원들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해 SNS 등의 활동으로 인한 불필요한 오해가 없도록 각별히 유의하고, 음주ㆍ골프 등도 일절 자제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