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참사에 대한 정부의 부실대응이 여론의 질타를 받고 있는 가운데, 여야 내부에서 개각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개각의 목적과 폭, 시기 등에 대해선 시각차가 있지만, 여야 모두 개각이 불가피하다는 데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개각론은 박근혜 대통령의 21일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 발언이 나오면서 힘이 실리고 있다. 박 대통령은 회의에서 "자리보전을 위해 눈치만 보는 공무원은 이 정부에서 반드시 퇴출시키겠다", "(이번 사건의 원인을) 반드시 단계별로 철저히 규명해 무책임과 부조리, 잘못된 부분에 대해 강력히 책임을 묻겠다"고 강조했다. 일단 새누리당에서는 세월호 침몰 참사에 대한 정부의 미숙한 대응에 국민적 분노가 일고 있는 상황에서 민심 수습 방안의 하나로 `개각론`이 나오고 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에선 이번 사태를 인재를 넘어선 `관재(官災)`로 규정하며 그 책임을 져야 한다는 차원에서 개각론이 제기되고 있다. 개각의 폭과 관련해선 `전면 개각 수준`을 요구하는 데 여야 내부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흐름이다. 새누리당에선 이번 세월호 사건이 어느 정도 수습 국면에 접어들면,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조기에 `조각(組閣)` 차원의 개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이번 세월호 침몰 참사가 지방선거에 여권의 악재로 작용할 것이 예상되는만큼 개각을 통해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판단도 깔린 듯 하다. 새누리당 내에선 개각 대상으로 이번 세월호 침몰 참사 수습을 하고 있는 정홍원 국무총리, 강병규 안전행정부 장관,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 서남수 교육부장관 등이 거론된다. 이경옥 안행부 2차관도 물갈이 대상으로 지목되고 있다. 여기에 그간 논란의 대상이 됐던 현오석 경제부총리 등을 중심으로 한 경제팀과 남재준 국가정보원장도 거명된다. 새누리당의 한 핵심관계자는 22일 뉴스1과 통화에서 "사회 분위기의 쇄신이 필요하고, 국민들에게 정부가 새로운 각오로 하겠다는 모습을 보이는 게 중요하기 때문에 정부도 새롭게 허리띠를 졸라 매야 한다"며 "전면 개각보다 더 심하게 조각 차원이 돼야 한다. 박근혜정부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고 리셋(Reset)하겠다는 마음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핵심관계자는 개각시기와 관련해선 "개각을 꼭 지방선거 후에 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면서 "6·4 지방선거 전에 청문회를 열긴 어렵다고 하더라도, 조각 수준의 개각 발표를 지방선거 전에 하고 지방선거 후에 인사청문회를 하면 된다. 새로운 캐비닛(cabinet)을 어떻게 하겠다는 것을 보이고 지방선거에 임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새정치연합은 실종자 구조가 우선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지만, 정부의 미숙한 대응에 대해선 강하게 질타하고 있다. 새정치연합은 실종자 구조가 마무리되는 대로 정부 책임론을 강하게 제기할 태세다. 전병헌 새정치연합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여객선 침몰사고 대책위 연석회의`에서 "지금 당장은 실종자 수색과 구조가 최우선이다. 사고원인과 함께 사고대응, 구조작업에 이르기까지 온통 구멍투성이인 정부의 무능과 총체적 부실에 참으로 억장이 무너지지만 새정치연합은 당분간 정부에 대한 책임추궁을 일단 유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여객선 침몰사고 대책위 공동위원장인 우원식 최고위원은 "세월호의 사건 당시 상황을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고 구조의 적기를 놓친 해양당국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으며, 세월호의 수입·증축·안전검사·운행 과정상에 드러나 해양수산부와 그 유관기관들의 부패와 무능, 봐주기 카르텔도 비극의 주범"이라고 주장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