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가 도심지역 침수 예방과 생활하수와 오폐수를 깨끗하게 정화시켜 배출시키는 공공하수처리시설 확충을 위해 오는 2017년까지 1,226억원을 투입해 현 76.6%의 하수도 보급률을 100%로 끌어 올린다는 계획이다.
시는 하수도 보급률을 높여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해 오는 2017년까지 하수도 중점관리시범사업과 하수관거사업, 농어촌마을 하수도정비사업 등 공공하수처리시설 확충사업을 펼친다.
올해도 468억원을 투입해 공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우선 5,200세대 12,000여 명이 수혜대상인 명륜, 옥정, 동부, 법흥, 운흥동 일원 저지대 침수피해 예방과 수질개선을 위해 지난 2012년부터 내년까지 4년간 482억원을 투입해하수도정비 중점관리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우·오수관로 30.5km를 매설하고 예술의 전당 부근에 빗물펌프장 1곳도 설치한다.
활발한 하수관거사업도 동시 다발적으로 진행한다.
서구동과 중구동 지역 3,006가구의 생활하수를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입·처리하기 위해 총 356억원을 들여 안동시 중구2처리분구 하수관거정비공사를 추진하고 있다.
지난 2011년부터 시작된 이 사업은 내년도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며 올해 98억원을 투입한다.
농촌마을인 일직면 소재지에도 51억5천만원을 투입해 160톤을 처리할 수 있는 하수처리장을 올해 마무리할 계획이다.
현재 설계중인 남선면 소재지 주변과 송현동, 노하동, 정하동, 정상동, 수상동, 수하동 일원에도 오는 2017년까지 258억원을 투입해 오수 관거 50.3km를 신설하고 1,826세대의 오수를 처리한다.
안동하수처리장 에너지자립화 사업도 추진한다.
올해부터 내년까지 63억5천만원을 들여 소화가스 발전이용시설과 10㎾급 소수력발전시설을 설치한다.
또한 15억원을 투입해 300㎾급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한다.
현재 공공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율을 현 6.1%에서 23.8%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 오게 된다.
하수관거사업이 완료되면 무엇보다 합류식 하수관거 내 퇴적물 발생으로 인한 하절기 파리, 모기 서식과 심한 악취문제를 해결해 쾌적한 도시생활환경 조성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우·오수분류사업이 마무리되면 매년 1회 의무적으로 시행했던 정화조 청소가 필요 없게 될 뿐만 아니라 APT 등 공동주택 정화조도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시민들에게 비용절감 효과도 주게 된다.권기억 상하수도과장은 "오수관거 공사가 시내일원 곳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공사가 추진되다 보니 도로굴착 등으로 인해 시민 불편 초래가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통행이 적은 야간작업과 출퇴근 시간대 공사는 피해 시민의 불편을 최소화해 공공하수처리시설을 확충해 쾌적한 도시기반을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시민들의 협조를 부탁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