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ㆍ4 지방선거는 지역의 일꾼을 뽑는 ‘풀뿌리 민주주의 축제’이자 ‘지방정치 축제의 장’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지난 16일 세월호 침몰로 전 국민들이 온통 침통해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지역에서 출마한 예비후보들은 일요일 유권자들을 찾아 교회나 시골 마을을 다니면서, 표밭갈이에 나서고 있자 지역 주민들로부터 눈총까지 받은 것으로 알려 지고 있다.
반면, 일부 예비후보들은 세월호 참사 피해 유족들과 고통을 함께 나누기위해 종전 밤, 낮 없는 선거운동을 자제하면서 조심스러운 모습으로 지인들을 만나고 있는 것으로도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매년 선거철이면 후보자들의 무분별한 선심성 공약, 사회의 갈등을 양산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도적인 개선과 정치인, 그리고 주민의 의식변화가 있어야 된다.
특히, 이번 지방선거에서 유능한 인재를 뽑는데 유권자들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경북, 대구 지역 지방선거는 정책선거라기 보다도 또 다시 정당 중심 등으로 치룰 것으로 점쳐 지고 있다. 이로 인해 지역일꾼을 뽑는데 한계가 있다.
정책선거가 정착되지 않고, 주민들의 정치의식 수준도 높지 않는데다 후보자의 자질과 능력보다 정당에 대한 충성심 등이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번 선거에 출마하는 후보자는 지역발전을 위한 봉사자로서 자질을 갖췄는지, 그에 대한 충분한 능력이 검증되어야만 한다.
지방의원은 행정의 감시자로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
여기에다 일부 지방정치인들의 전문성과 자질 및 윤리적 자세에 대한 주민 비판도 적지 않다, 전문성 부족으로 집행부를 제대로 감독 못하는 지역일꾼을 뽑는 것은 유권자의 선택에 달렸다.
이번 지방선거는 유권자가 후보자들이 지방의원으로서 자질과 전문성, 도덕성보다 정당을 보고 투표하거나 정에 끌려 뽑는다면, 지역발전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분명히 알아야 된다.
앞으로 지역발전은 능력 있는 자치단체장, 지방의원, 공무원 그리고 지역주민 등이 하나가 돼 노력하는 길 밖에 없다.
따라서 이번 선거는 정책적 비전을 갖고 실천하는 인사가 선택되길 바란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