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3대 관변단체(자유총연맹, 바르게살기운동협의회, 새마을 단체)에 대한 8개 구,군의 사회단체보조금 비리와 유착의혹 등이 제기된 상황에서 8개 구,군은 4월말까지 자체 지도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우리복지시민연합은 대구시 감사실에서 지난 2012년과 2013년에 감사한 기초자치단체 정기 종합감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사회단체보조금에 대한 최근 불거진 영수증 부실처리나 가짜영수증 사용, 공무원이 직접 보조금 신청부터 정산까지 한 유착의혹 등은 전혀 대구시 감사에서 적발된 적이 없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해 대구시 감사실이 감사한 지자체는 중구, 동구, 남구, 서구였으며 중구 정기감사(2013년 2월13일~25일, 9일)에서는 ‘관변단체 등에 사무실 부당 편법지원 및 공유재산심의회 미 이행’만을 지적했고, 동구 정기감사(2013년 6월14일~26일, 9일)에서는 자부담을 보조금으로 집행한 8백800,000만 원을 회수 조치하는 것만 감사에서 적발됐다.
또한 남구 정기감사(2013년 11월18일~28일, 9일)에서는 6개 사회단체가 사회단체보조금지원심의위 심의 결과 전액 삭감된 회의비, 업무추진비 등을 변경승인 절차 없이 다시 임의로 편성해 1천4백530,000만 원을 집행해 정산했으나 정산검사를 소홀히 해 이를 승인했다.
이어 실적평가 시 심의회 심의를 거치지 않았다고 지적하고 있으나 환수조치에 대한 언급은 없고 서구 정기감사(2013년 9월25일~10.8, 9일)에서는 사회단체보조금과 관련된 지적사항이 하나도 없다고 지적 했다.
이에 우리복지시민연합은 대구시 감사실은 사회단체보조금은 시민혈세가 줄줄 새고 있어도 적발조차 되지 않은 채, 비리는 눈덩이처럼 커지고 유착은 죄의식 없이 관행처럼 굳어져 버렸다고 비난했다.
이어 사회단체보조금 비리와 유착관계를 근절시키지 못한 모든 책임은 대구시에 있음을 분명히 경고하며 미온적이고 부실한 대구시 감사에 늑장 감사, 축소 감소 논란이 일고 있는 이유를 대구시는 분명히 알아야 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