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측이 7일 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공동대표가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 등을 비롯한 각종 현안을 논의키 위해 제안한 회동에 대해 거부 입장을 공식 통보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제1야당 대표와의 회동을 거부함에 따라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가 향후 어떻게 대응할지 주목된다.
박준우 청와대 정무수석과 주광덕 정무비서관은 이날 오후 2시 국회를 찾아 김한길·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공동대표와 10분간 비공개 면담을 갖고 안 대표의 회동 제안에 대한 거부 입장을 전달했다.
박 대통령은 박 수석을 통해 "기초공천제 폐지 사안은 공직선거법을 개정해야 하는 문제로서 여야가 논의를 통해 국회에서 합의한 것이 선결돼야 한다"며 "기초공천 폐지 사안은 대통령의 결단을 요구할 사안이 아니고 여당과 논의해야 할 사안이므로 여야가 합의를 이뤄주기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다.
박 대통령은 안 대표와의 회동문제와 관련, "현재 선거가 임박해 있는 상황으로 5월15일부터 후보등록이 시작되고 5월22일엔 공직 선거운동이 개시된다"면서 "각 당이 선거체제로 전환한 상황에서 대통령이 야당 대표와 만나는 것은 선거 중립 등 정치적 논란을 불러올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지방선거가 끝난 뒤 민생과 국익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언제든지 만날 수 있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의 이같은 입장표명으로 이날 회동 분위기는 시종일관 무거웠던 것으로 전해졌다. 김·안 공동대표는 박 수석으로부터 박 대통령의 메시지를 전달받는 동안 3번에 걸쳐 말을 중단한 채 깊은 침묵을 지켰다고 금태섭 대변인이 국회 정론관에서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금 대변인에 따르면, 두 공동대표는 박 대통령의 메시지를 전달받고 "새로운 얘기가 없네"라고 반문한 뒤 "이미 드린 말씀이지만, (박 대통령이) 대선 때는 선거법 개정사항인 줄 몰랐느냐"라고 반박했다.
박 수석이 "박 대통령만큼 공약을 지키려고 노력하는 분은 없다"고 하자 김 공동대표가 "그건 정말 우리와 생각이 다르다"고 쏘아붙였다. 안 공동대표도 "지금 대통령이 제1야당 대표를 만난다고 해서 누가 선거개입이라고 하거나 정치적 중립성을 문제 삼겠느냐"라고 지적했다고 금 대변인은 밝혔다.
김·안 공동대표는 박 대통령의 회동 거부 입장 표명에 대해 불쾌한 표정이 역력해 보인다. 김 공동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지난번에 안 대표가 청와대 갔을 때 박 수석과 만나서 한 얘기랑 똑같다"며 "그때는 사견이라고 하고, 오늘은 대통령이 전하는 말씀이라고 하는 차이일 뿐 내용은 똑같다"라고 말했다.
안 공동대표가 자신의 제안에 대한 답변시한으로 정했던 이날 박 대통령의 응답함에 따라 두 공동대표는 향후 대응책 마련을 위한 막바지 고심에 들어간 모양새다.
안 공동대표는 향후 대응책과 관련한 기자들의 질문에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는 이제 숙고해보고 말씀드리겠다"고 말했다.
금 대변인은 "저희는 대통령께 정중하게 예의와 절차를 지켜 제안드렸기 때문에 (박 대통령이) 당연이 국민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제1야당 대표의 제안에 대해 답을 성의껏 할 것이라고 믿고 오늘까지 기다렸다"며 "이런 식으로 제안을 거절하고 야당을 무시하는 경우를 가정하고 대응책을 세우지 않았다. 정무수석 와서 말했으니 이게 정식통보라 생각하고 이제 향후 어떻게 할지 오늘 논의해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간 당내에선 지방선거 보이콧 등 강경론이 적지 않았던 상황이어서 김·안 공동대표가 어떤 결단을 내릴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당내에선 두 공동대표의 결단이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얘기가 들린다.
새정치연합의 한 핵심당직자는 이날 뉴스1과 통화에서 "실무선에선 이미 두 대표에게 여러가지 안에 대해 보고를 드린 상태다. 막바지 고심 중으로, 이제 두 대표의 결심만 남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당내에선 선거가 2달이 채 남지 않은 만큼 두 공동대표가 선대위원회 체제를 꾸리면서 국면전환을 시도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대체적이다. 또 다른 핵심관계자는 "(지방선거 보이콧은) 정당으로서 책임 없는 모습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까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박 대통령의 회동 거부에 따라 당내 강경파들의 공세가 지도부에게 향할 가능성이 높아 두 공동대표가 강수를 둘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어 보인다.
이와 함께 당내 반발 여론이 거셈에도 불구하고 두 공동대표가 기초 무공천 방침을 바꿀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금 대변인도 "무공천 방침에는 변함이 없다"고 못 박았다.
뉴스1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