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삼척 인근 야산지역에서 북한의 것으로 추정되는 무인기 1기가 추가 발견됐다고 6일 국방부가 밝혔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긴급 브리핑을 통해 "지난 3일 강원도에서 한 민간인에 의해 지난해 10월4일경 최근 파주에 추락한 무인기와 유사한 소형 무인기를 목격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고 밝혔다.
이번에 신고한 민간인은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활동하는 심마니 이모씨(53)이며 군은 이후 신고자 진술 청취와 중앙합동조사요원들의 현장 조사를 통해 이날 오전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청옥산 줄기 해발 940m 지점에서 무인기를 발견했다.
무인기는 지난달 24일 파주에서 추락한 무인기와 유사한 삼각형 형태의 기종(길이 1.22m, 날개폭 1.93m, 중량 15kg)으로, 무인기 하부에 카메라를 장착할 수 있는 홈이 파여져 있으며 기체의 색상 역시 하늘색이라고 군은 밝혔다.
군은 강원도 현지에 최근 눈이 많이 온 것을 고려해 5일 선발대를 투입해 수색 현장 인근을 정비한 뒤 이날 오전 9시 신고자를 포함한 목격자 3명, 중앙합동조사요원 5명, 기타 군 관련 수색인원 11명 등 19명의 수색대를 투입해 오전 11시40분경 기체를 찾는데 성공했다.
신고자 이씨는 지난해 10월4일 산에서 다른 심마니들과 함께 약초 등을 채취하던 도중 무인기를 발견했으나 당시에는 북한의 무인기로 생각하지 못하다 최근 파주와 백령도에 추락한 무인기를 뉴스를 통해 보고 뒤늦게 이를 신고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씨는 해당 무인기에 달려있던 캐논 카메라 메모리 카드를 확인한 결과 삼척의 광동호 호수와 동해안으로 추정되는 복수의 사진이 담겨 있었다고 진술했으나 이후 메모리 카드의 내용을 삭제하고 본인이 사용해 현재 군은 무인기가 활영한 사진은 확보하지 못한 상태다.
이씨는 또 카메라에는 물이 차 사용이 불가능해 폐기했다고 진술함에 따라 군은 해당 카메라를 회수하는 방안을 모색 중에 있다.
김 대변인은 "군은 이번에 발견한 소형 무인기 역시 북한의 소행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대공용의점, 기술수준 등을 정말 분석 중에 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아울러 이번 무인기의 발견 장소에 대해 "군사분계선(MDL)로부터 130km 떨어진 지점"이라고 밝혔다.
삼척 무인기가 북한이 보낸 것으로 최종 결론이 날 경우 북한은 적어도 지난해 하반기부터 서부전선을 물론 동부전선 이남 내륙 지역까지 무인기를 활용해 정찰활동 등을 진행한 것으로 풀이할 수 있어 파주와 백령도 무인기 사건으로 비롯된 우리 방공망의 허술함에 대한 비판이 다시 제기되고 있다.
뉴스1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