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을거리 가운데서 친환경 농산물이 인기를 끌고 있다. 일부 농산물에는 농약으로 뒤덮인 먹을거리가 판을 치고 있다. 이 같은 먹을거리 현실에서 포항시에서 생산된 친환경 농산물이 전국의 시장으로 나가고 있다. 이는 포항이 형산강을 끼고 있는 영일만의 비옥한 토지에다 해풍을 맞는 연해지, 평야지, 중간지, 산간 고랭지가 고루 분포해 있어 다양한 친환경 농산물 재배가 가능했기 때문이다.
친환경농업 통계를 살펴보면 2013년 말 기준 친환경 농산물 인증면적1,559ha, 무농약 이상 고품질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이 896ha이다. 이는 각각 도내 2위와 3위의 기록이다. 무농약 이상 인증비율은 58%이다. 이는 경북도 평균 53% 수준을 크게 웃돈다.
2010년 9월에는 친환경 쌀의 최대소비처인 서울시농수산물공사와 업무협약(MOU)체결로 지난해에 1,800톤 이상의 친환경 쌀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성과를 올렸다.
포항시가 친환경 농업을 통한 체험형 관광을 위해 62억 원을 집중 투자했다. 더하여 친환경 농업지구 상옥 슬로우시티를 조성했다. 이 마을에서 생산된 친환경 토마토는 2013년 기준으로 662톤을 일본에 수출하여 약 13억 원의 외화를 벌었다.
지금까지가 친환경 먹을거리의 성과물이다. 그러나 미래가 문제이다. 지자체마다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본다. 이럴수록 포항시가 친환경 농산물에 더욱 투자를 해야 한다. 도시인들의 입맛이 까다롭다. 까다로울수록 입맛 맞춤형으로 가야 한다. 포항시의 먹을거리에서 더욱 앞서기 위해서 투자와 함께 농업인들의 교육도 필요하다. 포항시의 미래의 친환경 먹을거리 농정을 기대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