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권호경기자]동해지방해양경찰청과 해군 제1함대사령부는 1일 오전 11시, 동해 해군군항에 정박 중인 해경 경비함정 3018함에서 ‘스마트정비지원센터 추진 관련 상호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이번 업무협약은 해양수산부가 수립한 항만기본계획과 연계하여, 양 기관이 협력해 동해항에 민·관·군이 공동 활용 가능한 스마트정비지원센터를 건립하기 위한 것으로, 향후 중·대형 정부 선박의 정비 인프라 확충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계획이다.동해항에 조성될 스마트정비지원센터는 1만 톤에서 1만 5천 톤급 선박까지 수용 가능한 건선거(dry dock)를 포함하며, 해경·해군·해양수산부 등 다양한 정부기관 소속 선박의 정비(MRO: Maintenance, Repair, Overhaul)를 수행하게 된다. 특히, 중대형 함정을 현지에서 직접 수리할 수 있어 정비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고, 진해 해군군항까지의 이동 소요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또한, 무인전력 정비지원체계를 도입함으로써 미래 해양안보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이 한층 강화되며, 동해 해군군항 인접부지에 시설이 건립됨에 따라 보안성도 확보할 수 있다는 평가다. 아울러 정비 전문 인력과 가족 유입, 지역민 고용 창출을 통한 지역경제 활력 제고도 주목되고 있다.이날 협약식에는 김성종 동해해경청장, 곽광섭 1함대사령관을 비롯한 양 기관 주요 관계자 20여 명이 참석해 협력의 첫 걸음을 내디뎠다. 협약식이 해경 3018함 선상에서 진행된 점도 상징성을 더했다.양 기관은 이번 MOU를 계기로 스마트정비지원센터의 부지 확보, 설계 및 운영 규정 마련, 인력·장비·정보의 상호 지원 등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함께 마련해나갈 방침이다. 더불어, 해당 사업이 제5차 항만기본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공동으로 소요를 제기할 계획이다.김성종 동해해경청장은 “현재 전무한 동해안 지역 대형 정부 선박 정비·수리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해양주권 수호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경제에도 기여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해군 제1함대사령부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곽광섭 1함대사령관은 “동해를 둘러싼 위협이 날로 고도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작전부대의 지속적인 전투력 창출 여건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민·관·군 협력체계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정비지원센터는 작전 효율성과 정부 예산 절감, 지역경제 활성화 등 다방면에서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한편, 동해해경청과 1함대는 정기적인 합동훈련과 승조원 교육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이어가고 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