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청년 10명 중 4명은 기업들이 경력직을 우대하거나 과도한 스펙을 요구해 구직 활동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구직자 10명 중 3명 이상은 자격증 및 시험 준비를 하느라 취업 활동을 못하거나, 높은 자격 요건 때문에 자포자기하는 실정이다.22일 한국경제인협회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미취업 청년 500명을 설문한 결과에 따르면 청년들이 구직 활동에서 가장 어려움을 겪는 문제는 `일자리 부족` 30.0%, `경력 위주 채용` 20.4%, `과도한 자격요건` 19.6% 순을 기록했다.구직활동을 포기하거나 미루는 이유는 `자격증 및 시험 준비`가 19.6%로 가장 많았고, 이어 △일자리 부족(17.3%) △휴식(16.5%) △과도한 자격요건(13.8%) △계속된 실패로 인한 구직 중단(9.2%) 등이 뒤를 이었다.기업들이 이른바 `중고 신입`으로 불리는 경력직을 우대하거나 지나치게 높은 수준의 자격을 요구해 다수의 청년이 구직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취준생들은 이런 기준을 맞추느라 구직을 중단하는 세태가 만들어진 셈이다.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한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10명 중 3명은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한 점을 최대 걸림돌로 꼽았다. 특히 한국 사회에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은 무려 76.4%에 달했다.청년들이 꼽은 양질의 일자리 조건은 `급여 수준`이 31.8%로 가장 높았으며, `고용 안정성`(17.9%)과 `일과 삶의 균형`(17.4%)이 뒤를 이었다. 미취업 청년들이 희망하는 최소한의 세전 연봉 수준은 평균 3468만 원(고졸 이하 3227만 원·대졸 이상 3622만원)이었다.미취업 청년들은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과제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 확대`가 32.7%로 가장 많았고, `체험형 인턴 등 실무 경험 기회 확대`는 16.0%였다.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청년들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 확대를 위해 신산업 육성을 지원하고, 규제 완화를 통한 기업 활력 제고와 고용 여력 확충에 힘써야 한다"고 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