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영식기자] 대구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하는 ‘2025년 메가시티협력 첨단산업 육성지원(R&D) 사업’에 최종 선정돼, AI기반 유연생산용 다목적 이동형 양팔 협동로봇 시스템 개발을 위한 국비 46억원을 확보했다. 이번 선정으로 첨단로봇 핵심부품의 고도화와 생산공정 자율화가 본격 추진될 전망이다. 이번 사업은 초격차 첨단산업과 연계한 메가시티 협력산업의 가치사슬 강화를 통해 지역경제의 혁신성장을 도모하고, 초광역권 협력을 기반으로 기술 중심의 균형 발전을 이끄는데 목적이 있다.대구시는 경북도와 협력해 AI·로봇 분야의 대경권 혁신 인프라를 연계하고, 첨단 로봇산업 확대와 AI 자율제조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개발을 본격 추진한다. 총사업비는 89억원으로, 대구기계부품연구원이 총괄주관기관을 맡아 대구지역산업진흥원, 경북진흥산업진흥원, 경북테크노파크, ㈜에스엘, ㈜뉴로메카 등 총 10개의 기관 및 기업이 참여한다. 사업기간은 4월부터 오는 2027년 3월까지 2년간이다.㈜에스엘은 외산품 대체가 가능한 라이다 센서 모듈 상용화 개발, 제조공정 최적화 자율주행 기술 개발 및 통합제어기 개발을 담당한다. ㈜뉴로메카는 양팔 로봇의 충돌방지 움직임 제어기술, 다기능 툴 체인지 기술 개발 등을 추진한다. 개발된 이동형 양팔 협동로봇은 PCB 라우터 공정, 자동차부품 물류 공정 등 실제 제조 현장에 실증돼 상용화 모델로 보급될 예정이다.한편, 대구시는 이미 초광역 협력 플랫폼 구축을 통해 자율주행로봇(AMR) 산업육성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고, 이동식 협동로봇 산업안전표준(KSB 7327)을 개발·운영한 바 있다. 이번 사업을 통해 로봇산업 클러스터 강화, 신규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등 다양한 경제적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아울러 기존 혁신클러스터 사업 등과의 시너지 효과도 주목된다.최운백 미래혁신성장실장은 “이번 메가시티협력 사업 선정은 지역 첨단산업 역량이 국가적으로 인정받은 성과다”며 “대구와 경북이 함께 로봇과 AI 분야의 혁신 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