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로 시작된 탄핵 정국도 오는 4일이면 끝을 맺을 전망이다.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 결정이 나오지 않는다면 윤석열 대통령은 즉각 직무에 복귀해 대미 통상문제 등 외치를 시작으로 산더미처럼 쌓인 국내 현안으로 시선을 돌릴 것으로 보인다.2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이 업무에 복귀할 경우 최우선 과제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발 통상전쟁 대응이 꼽힌다. 대통령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를 시작으로 미국 순방부터 나설 것이라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다.정부는 지난 1월 20일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고위급 통화조차 없는 상황이다. 한미 정상 간 통화는 지난해 11월 7일 윤 대통령이 당시 트럼프 당선인과의 통화가 마지막이다.당시 두 정상은 "한미 간에 좋은 협력 관계를 이어가자"고 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조선 협력에 관한 논의를 하자고 제안하기도 했다.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복귀 이후 미국 백악관에서 "대한민국 정부와 협력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는 입장을 전해오기도 했지만, 원론적인 차원에 그쳤다는 게 일반적인 시각이다.이에 여권 내부에서는 윤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 상호관세 등 직접 협상에 나서야 돌파구가 보일 것이라고 보고 있다. 정부가 정상화되고 화끈한 성격의 두 정상이 만나야 활로가 보일 것이라는 분석이다.이와 함께 중국과 관계도 숙제다. 탄핵 정국에서 윤 대통령이 직접 `중국 간첩` 등을 언급했고 중국 측에서도 불쾌감을 드러낸 만큼 중국과 관계 개선에도 힘을 쏟을 전망이다.이러한 가운데 여야 대표는 각기 다른 반응을 보였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일 여당 의원 108명 전원에게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과정에서의 절차적 문제점을 지적하는 내용의 책을 전달했다.권 위원장은 이날 "4월 4일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탄핵이 기각돼야 한다는 마음을 담아 이 책을 드린다"는 내용의 서한과 함께 서울고법 부장판사 출신 강민구 변호사의 저서 `백척간두 끝에서 서서`를 전달했다.이 책은 윤 대통령 탄핵소추,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수사 과정에서 법적, 절차적 문제가 있었다고 주장하는 내용이다.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2일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 선고 관련 기자들의 질문에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것"이라는 입장을 나타냈다.취재진이 `3주 전에 한 방송에서 헌재 결정에 당연히 승복한다고 했는데 입장에 변함이 없나`라는 질문에 내놓은 답이다.이 대표는 지난달 12일 한 방송에 출연해 "(헌재 판결에) 당연히 승복해야 한다"고 했지만 이후에는 공식 석상에서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