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영식기자]경북대와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에서 3년간 의사과학자를 꿈꾸는 학생들 양성에 나선다. 정부는 최대 11년간 경력에 따라 돕겠다는 방침이다.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025년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 사업(학부·대학원 인프라)`에 각각 2개 의과대학, 5개 컨소시엄(13개 의대 대학원)이 선정됐다고 1일 밝혔다.이번에 선발된 기관들은 오는 2028년 2월까지 3년 동안 사업을 수행하면서 의사과학자를 꿈꾸는 학생들을 양성하게 된다.복지부는 지난 2019년부터 `융합형 의사과학자 양성 사업`을 통해 박사학위 취득까지 전주기 양성 과정을 지원하고 있다.이렇게 배출된 의사과학자(MD-Ph.D)들이 계속 연구할 수 있도록 최대 11년(신진 3년, 심화 3년, 리더 5년)간 경력 단계별로 지원하는 `글로벌 의사과학자 양성사업`도 운영하고 있다.대학원 인프라 지원사업은 지난 2019년부터 컨소시엄당 연간 1억8000만원(국고 기준, 컨소시엄당 매칭)을 지급했다.이를 통해 학교별 의사과학자 양성 시스템을 구축하고, 컨소시엄 내 교육·연구 협력 기반을 마련했다.컨소시엄 자체적으로 전공의를 뽑아, 임상 수련과 병행하며 연구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2022년부터는 의대 학부과정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해 연간 2억7000만원(국고 기준)을 투입, 의대생이 의사과학자 진로에 대해 미리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했다.이번에 선정된 기관들은 연속적인 사업 추진을 통해 이러한 성과를 더 발전시킬 전망이다.학부과정으로 서울대, 연세대가 선정됐고 대학원 과정은 경북대, 고려대, 서울대, 연세대 신촌캠퍼스 등이 컨소시엄을 꾸려 낙점됐다.정은영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지속적으로 연구를 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을 위해 사업 확대를 위한 예산 확보, 각종 제도 개선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