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용묵기자]이철우 경북도지사는 19일 "이재명 대표를 `아버지`, `신의 사제`, `신의 종`이라 부르는 사람들이 대통령을 존중해 부르는 `각하`라는 단어에 왜 이렇게 예민하게 반응할까"라고 했다.이 지사는 이날 페이스북에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을 보면 `각하(閣下)`는 `특정한 고급 관료에 대한 경칭`이고 권위주의시대 부정적으로 인식된 점은 있지만 그 자체로 나쁜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며 "외국에서도 `Your Excellency`, `The Honorable` 등 경칭을 붙인다"고 설명했다.그러면서 "지금은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각하(却下)`가 어느 때보다 절실한 상황"이라며 "중의적인 표현을 강조하기 위해 언급한 용어에 `극우 선동` 등으로 발끈하는 야당의 모습이 애처롭다"고 했다.이어 "이재명 대표를 `아버지`, `신의 사제`, `신의 종`이라 부르는 사람들이 대통령을 존중해 부르는 `각하`라는 단어에 왜 이렇게 예민하게 반응할까"라며 "이승만, 박정희, 윤석열 대통령을 존중하게 될까 봐, 탄핵이 실패할까 봐 두려워서 `각하`라는 단어를 쓰지 못하게 극우 프레임을 씌우는 것"이라고 주장했다.또 "좌파는 `광장`, 우파는 `아스팔트`, 좌파는 `깨시민`, 우파는 `극우세력`, 좌파는 `연대, 연합`, 우파는 `부대, 단체`, 좌파는 `아버지`, 우파는 `수괴` 이것이 바로 `용어의 연성 사상전`"이라고 설명했다.이 지사는 "`내란몰이에 나선 범죄 수괴 이재명과 하수인들이 극좌 시위에 참석해 선동하고 나섰다`고 만약 이렇게 문장을 쓴다면 어색하게 느껴질 것"이라며 "그러나 좌파들은 이런 표현을 우파에게 스스럼없이 쓰고, 일부 언론도 그걸 그대로 받아서 보도에 쓴다"고 비판했다.그러면서 "국민 절반이 윤 대통령을 지지하고 탄핵에 반대하는데, 우리 국민이 모인 평화로운 집회를 `아스팔트 극우세력의 난동`이라고 표현하며, 태극기와 애국가도 부정적으로 만들어가고 있다"며 "이것이 바로 용어의 연성 사상전이고 우리 모두 정신 바짝 차려야 한다"고 덧붙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