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류희철기자] 구미시는 전체 인구의 33%를 차지하는 노인(5만3131명), 장애인(1만7321명), 아동ㆍ청소년(6만5935명), 임산부(1756명) 등 보행약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도시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미형 무장애 도시’ 조성 사업을 추진한다.구미시는 올해 5000만원을 투입해 무장애 도시 실현을 위한 중장기 사업 추진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을 시작하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오는 2026~2030년까지 5개년 계획을 수립해 단계적 무장애 환경을 구축한다.지난해부터 10억원을 투입 송정ㆍ형곡 지역에서 고원식 횡단보도 설치, 경사로․점자블록 정비, 단차 제거 등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오는 5월 완료된다.올해는 추가로 10억원을 투입해 인동ㆍ진미 지역으로 사업 범위를 확장 균형 잡힌 무장애 도시 환경을 만든다. 3월부터 경계구간, 단차 제거, 경사로 완화, 훼손된 점자블록 정비 등을 통해 시민들이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개선할 계획이다.또한, 버스승강장에는 미끄럼 방지 논슬립을 설치해 겨울철 미끄러짐 사고를 예방하며, 어린이보호구역에는 경계석 논슬립을 설치해 보행자와 운전자의 시인성 향상과 어린이 미끄럼 사고 방지 효과를 꾀한다.한편, 무장애(Barrier Free) 도시는 노인, 장애인, 임산부, 영유아를 비롯한 모든 시민이 개별시설에 접근․이용․이동하는 데에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계획ㆍ설계ㆍ시공된 도시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