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안종규기자]금융권이 연초 대출 규제를 완화하며 주택담보대출(주담대)가 늘어나자 가계대출도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동월 기준 4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증가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은 지난 2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 총량이 전월 대비 4조3000억원 증가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같은 달 기준 지난 2021년(9조7000억원) 이후 4년 만의 최대 폭의 증가다. 지난 1월 가계대출은 10개월 만에 감소했지만 한 달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세부적으로 보면 주담대는 5조원 증가했다. 전월(3조2000억원) 대비 증가 폭이 확대됐다. 은행권이 3조5000억원 늘며 전월(1조7000억원)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2금융권은 1조5000억원으로 전월(1조5000억원)과 유사했다.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은 6000억원 감소했으나, 전월(-4조1000억원)과 비교해선 감소 폭이 줄었다. 지난 1월 1조5000억원이 감소한 신용대출이 2월 들어 1000억원 늘어난 영향이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권의 가계대출은 3조3000억원 늘었다.디딤돌·버팀목·보금자리론 등 정책성대출은 2조9000억원 늘며, 전월(2조2000억원) 대비 증가 폭이 커졌다. 은행 자체 주담대도 6000억원 늘며 전월(-6000억원)과 비교해 증가세로 전환했다.2금융권의 가계대출도 1조원 오르며, 전월(-5000억원)과 비교해 증가세로 전환했다. 상호금융권(-1000억원→8000억원), 여전사(-1000억원→3000억원)는 늘었고, 저축은행(2000억원→-200억원)은 감소세로 바뀌었다.금융당국은 지난해 하반기 대출 규제를 강화한 금융권이 연초 들어 새 경영목표 하에서 대출 취급을 재개하고, 신학기 이사 수요 등이 겹치며 다소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평가했다.다만 주택도시기금 재원의 디딤돌·버팀목 상환이 확대되고 있고, 이달 들어 신학기 이사 수요가 해소되는 점을 감안하면 충분히 관리할 수 있는 수준에 있다고 판단했다. 실제로 기금 재원의 디딤돌·버팀목은 1월(-7000억 원), 2월(-1조 원) 등 기존 대출 연장보다 상환하는 추세다.   다만 부동산 규제가 자칫 서울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가격 상승을 부추길 수 있는 점은 우려된다.금융당국은 "국지적인 주택 가격 상승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만큼 가계부채 관리 기조를 일관되게 유지하면서 관계부처간 긴밀한 공조 아래 지역별 주택시장 상황과 주담대를 중심으로 한 가계대출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이어 "주택시장 상승 폭 확대 우려로 인해 과도한 불안심리가 확산하거나 투기·시장교란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