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경철기자]정부는 올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의장국으로서 추진할 핵심 성과로 `인공지능(AI)협력`과 `인구구조 변화 대응`을 제시했다고 9일 밝혔다.외교부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달 24일부터 9일까지 경주에서 개최된 APEC 제1차 고위관리회의(SOM1) 및 산하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제시했다.`AI 분야`에선 AI 기술의 무한한 잠재력을 포용적,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구현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했다. `인구구조 변화 대응`과 관련해선 인구 문제를 위기가 아닌 기회로 활용하기 위한 협력 사업들을 제시했다.회원국들은 우리가 제시한 두 가지 핵심 성과와 관련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공통으로 직면한 도전과제들을 잘 반영한 시의적절한 주제"라고 평가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고위관리회의는 APEC 회원 간 협력 사안을 논의하는 고위급 협의체다. 매년 4회의 공식회의와 1회의 비공식회의를 개최하고 그 결과를 정상회의·합동각료회의에 보고한다. 이번에 우리나라는 이지윤 외교부 국제경제국 심의관이 고위관리 자격으로 참석했다.이번 고위관리회의는 21개 APEC 회원 대표단과 사무국 등으로 구성된 약 2000여명의 인원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무역투자위원회(CTI), 경제기술협력운영위원회(SCE), 예산운영위원회(BMC), 경제위원회(EC) 등 4대 위원회를 비롯한 분야별 산하회의 총 24개도 개최됐다. 해당 기간 APEC 재무차관, 중앙은행 부총재 회의도 함께 열렸다.아울러 윤성미 APEC SOM 의장과 이지윤 고위관리는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 페루, 말레이시아, 대만, 캐나다, 뉴질랜드, 태국, 싱가포르 등 고위관리들과 양자 면담을 가지기도 했다.또한 전직 및 차기의장인 페루, 중국과는 `트로이카` 회동을 갖고 올해 APEC 성과 도출과 향후 연속성 확보를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올해 APEC에서는 오는 5월 제주 제2차 고위관리회의, 7~8월 인천 제3차 고위관리회의가 예정돼 있다. 그 사이엔 해양, 인적자원, 교육, 통상 등 11개의 분야별 장관회의와 2개의 고위급회의도 열린다. 이후 하반기 정상회의를 끝으로 올해 일정을 마무리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