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류희철기자]오는 3월 5일 전국동시 새마을금고이사장 선거를 앞두고 구미 중앙새마을금고 전·현직 임원들의 공방이 과열을 넘어 혼탁이 예상된다.현 임원진들은 전 이사장의 부실경영 책임을 물어 법적 대응을 예고했고, 전 임원진들은 "이사장 선거를 겨냥한 음해성 공격"이라는 반발과 함께 첨예한 대립양상을 이어가고 있다.지역 언론사의 취재에 의하면 구미 중앙새마을금고의 갈등은 지난 2020년 7월 40억원 규모의 PF대출이라는 분석이다. 이 과정에서 현 임원진은 "전 이사장이 울산 소재 건물 PF대출 실행과정에서 정확한 검증이 없었고 해당 건물은 아직도 별다른 사업진척이 없는 상황이다"라고 업무상 배임을 지적했다.이에 대해 전 임원진은 "현 이사장도 2023년 6월 만기연장과 이자 상환유예에 동의한 사실이 있다"며 "전임자 탓만 하면서 책임 전가하기에 바쁜 모습이다"라고 반박했다.여기에 더해 체력단련비 조기 지급과 명예퇴직자 포상금 지급을 둘러싼 논란도 이어지고 있다. 현 임원진은 A씨에게 체력단련비 368만원을 조기 지급하고, 규정에 없는 명예퇴직 포상금으로 288만원 상당의 금 10돈을 지급한 문제도 제기했다.전 임원진은 "코로나 상황에서 직원 사기를 고려해 50일 조기 지급했고, 자체감사 지적 후 해당 금액을 모두 반환했다"라고 설명하며 "포상금 역시 36년간 근무한 공로를 인정한 것이며, 이사장 전결 범위 금액이다"라고 해명했다.또한, 채권 회수 특혜 의혹을 둘러싼 공방도 벌어지고 있다. 구미 새마을중앙금고는 2002년 5월 전 감사였던 B씨 가족에게 3천만원을 대출해 줬지만, 회수불능 상태에 빠졌고 14년이 지난 2016년 9월에야 채무보증인을 상대로 지급명령을 받아냈다는 문제도 제기됐다.이러저러한 이유를 들어 전직과 현직의 갈등은 이번 선거 과열로 재점화됐고, 금고 이미지 실추 우려도 나오는 최악의 상황으로 달려가고 있다. 이에 대의원들 사이에서는 "금고 발전을 위해 깨끗한 선거가 필요하다"라는 자정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