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조영삼기자]중국이 우리 한복을 자국의 문화라고 왜곡하고 있는 가운데 한복의 고유 독창성과 실체를 낱낱이 밝힌 책이 발간됐다. 동북아역사재단은 한복이 중국에서 기원했다는 문화원조 논란 속에서, 한국 복식문화의 특징, 역사성을 확인하고 동아시아 문화교류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한국 복식문화사- 한국의 옷과 멋`를 최근 발간해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재단에 따르면 복식에는 상호 공유할 수 있는 보편성과 타인과 구분할 수 있는 지역성이 착종돼 있다.  복식은 정치적이고 심미적인 언어다. 관직자의 복식에서는 글로벌 기준이 도드라져 보이고, 일상복에서는 지역 특유의 감각이 스며있다는 것이다.    한국의 복식문화는 지역적 색감을 견고히 하면서도 동아시아 세계와의 상호 교류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다채로운 아름다움을 갖췄다.    이렇게 형성된 한국 복식문화의 미의식은 주변국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으며, 한국을 찾아온 외국인에게 특별한 아름다움으로 조명되기도 했다. 공동 저자인 구도영 씨는 "이 책은 고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한복의 원류와 시대별 복식의 아름다움 및 특징, 문화교류 양상을 6개의 주제로 다뤘다"고 밝혔다.   한국 복식의 원류와 삼국시대 복식, 고려시대 복식과 ‘고려양(高麗樣)’, 명나라의 조선 드레스 열풍과 조선 전기 여성 한복, 조선 후기 여성 패션과 아름다움 등 주제별로 한국 복식문화의 다양한 면모를 탐구하고 있다.    특히 명나라 때 비단으로 만든 조선 드레스가 큰 인기를 끌었다는 주제에서는 우리 한복이 중국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정확히 반증하고 있다.   또한 책은 복식사와 문헌사 분야의 전문 연구자들이 협업해 학술적 깊이를 더하면서 복식 관련 그림, 사진 등 풍부한 시각 자료를 컬러로 담아 독자의 이해를 돕고 눈을 즐겁게 한다.박지향 재단 이사장은 "이 책이 한국 복식이 가진 특유의 미의식과 역사에 대한 관심의 폭을 넓히고, 관련 논의와 연구를 깊어지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