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철보국(製鐵報國), 전지보국(電池報國)에 이어 포항과 대한민국을 살릴 ‘대왕고래’가 생존 고비를 맞자 애국의 성지 경북이 나서 ‘대왕고래’를 살려내자고 주장,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더불어민주당의 무모한 예산 전액 삭감으로 시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포항 영일만 가스전 개발사업인 ‘대왕고래 프로젝트’를 경북도 차원에서 추진하자는 주장이다. 경북도의회 박용선 의원(포항5, 국민의힘)은 17일 예산결산특별위원회 2024년도 제2회 추가경정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변경안 심사에서 ‘대왕고래’ 프로젝트를 경북도 차원에서 추진하자는 의견을 제시했다.박 의원은 “2022년 발생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유럽에 공급하던 러시아 천연가스 공급이 중단되자 유럽연합의 에너지 가격이 폭등하는 등 위기 발생 사례를 전 세계가 생생히 지켜봤다”며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러한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6월 직접 발표한 동해 ‘대왕고래 프로젝트’는 전 국민을 흥분케 하는 대형 국가사업이 아닐 수 없다고 평가했다. 대왕고래 사업 성공은 국부를 축척할 수 있는 기회뿐만이 아니라, 산유국 지위 회복을 통한 국가간 통상 우위 선점, 원유 구입 비용 절감 등 에너지 주권 확립을 선포할 수 있는 계기도 될 수 있어 나라의 경사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때 민주당이 5000억에 불과한 총투자비를 두고 정부·여당과 예선 줄다리기를 하는 모양새는 합당한 처사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안보에 여야가 없듯 국익 위한 일에 야당이 제동을 걸어서는 안 된다. 대왕고래 프로젝트는 출생(?)부터 윤 대통령과 엮여 본의 아니게 ‘대통령 추진 주력사업’이 됐고, 민주당은 이를 방해코자 전액 가까이 예산 삭감에 나선 것이다. 박 의원은 ‘대왕고래’예산 497억원이 전액 삭감된 데 대해 비통함을 표시하며, “에너지 주권 확립을 위해 멈출 수 없는 사업이기에 경북이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특히, 박 의원은 이스라엘, 노르웨이, 가이아나 등 포기하지 않고 도전한 끝에 산유국의 꿈을 이뤄낸 해외사례를 들고 “로또는 100만분의 1의 확률을 두고도 도전하는데, 성공 확률 20%는 해볼 만한 사업”이라며 “실패하더라도 뚫어보는 것이 국익을 위한 일”이라고 강조했다.예산 마련이 순조롭지 않을 경우, 박 의원은 경북도가 경북개발공사 등을 통해 SPC(특수목적법인)를 설립, 천연가스 시추 경험이 있는 지역기업 참여와 함께 도민의 펀드 투자를 통해 추진하는 방안을 제시했다.경북이 나서야 할 이유에 대해 그는 “예로부터 나라가 어려울 때 가장 먼저 해법을 찾아 나선 것이 경북이고 지금이 또다시 국가를 위해 일어나야 할 상황”이라며, “에너지 주권 확보를 위해 대왕고래 프로젝트는 멈춰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동해 영일만 대왕고래는 포항이 가장 근접한 도시라 포항시민들의 기대감은 남다를 수밖에 없다. 포항 50만 시민이 다함께 보상 청구에 나선 전력이 있는 만큼 포항 발전과 ‘대한민국 살림’이 될 수 있는 ‘대왕고래 살림’에 다시 한번 마음을 모았으면 한다. 포항 촉발지진 보상금(1인당 300만원)만해도 총 1조5000억에 이른다. 1/3 금액만 해도 총 시추를 모두 끝마칠 수 있다. 시민이 보상금 일부를 투자, 가스·석유 개발이 성공적으로 이뤄진다면 막대한 개발 이익도 받을 수 있다. 펀드 또한 마찬가지다. 국가기간산업이며 국민적 기업이었던 포항제철소는 지난 1969년 대일청구권 자금을 투입해 세운 기업이다. 이러한 포항제철소가 1988년 국민주 대상기업으로 선정, 포항시민을 비롯한 전 국민이 뜨거운 청약 열기를 보이며 기업 살리기에 힘을 보태 오늘의 글로벌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게 했다. 경북 도민이 참여하는 펀드, 포항시민이 낸 투자금이 종자돈이 돼 21C ‘대왕고래’란 이름의 새로운 애국의 모형으로 후세에 전해지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