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정다원기자]지난해 신혼부부 10쌍 중 2쌍은 연간 1억원이 넘는 소득을 벌어들인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고소득 직종이 몰린 서울의 경우 부부합산 소득 1억원 이상 비중이 30%를 넘어섰다.15일 통계청의 `2023년 신혼부부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신혼부부(재혼 포함) 수는 97만4452쌍으로 전년(103만2253쌍) 대비 5.6% 감소했다.신혼부부가 100만쌍 아래로 내려온 건 지난 2015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다만 전체적인 임금 수준이 오르면서 신혼부부의 평균 소득(근로+사업소득, 세전 기준)은 늘어나는 추세다.지난해 기준 신혼부부의 평균 소득은 6834만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7.2%(459만원) 증가했다.지역별로는 서울이 871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세종(7412만원), 울산(7230만원) 등도 높은 소득 수준을 보였다.반면 제주(5019만원)와 전북(5496만원), 전남(5696만원) 등은 신혼부부의 평균 소득이 상대적으로 낮았다.평균 소득을 구간별로 보면 △7000만~1억원 미만(20.9%) △5000만~7000만원 미만(20.2%) △1억원 이상(18.9%) △3000만~5000만원 미만(17.9%) △1000만~3000만원 미만(12.5%) △1000만원 미만(9.6%) 등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신혼부부 10쌍 중 약 2쌍은 1억원이 넘는 소득을 벌어들였다는 의미다.특히 서울은 평균 소득 1억원 이상 비중이 31.4%에 달했다. 해당 비중이 30%를 돌파한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지난해 신혼부부의 대출 잔액 중앙값은 1억5867만원으로 전년(1억5219만원)보다 4,3% 늘었다.대출잔액이 있는 신혼부부를 잔액 크기순으로 나열했을 때 중앙에 위치하는 값이 1억5867만원이라는 뜻이다.지역 별로는 서울이 1억9000만원으로 대출잔액 중앙값이 가장 컸고, 이어 대구(1억8150만원), 인천(1억8000만원), 경기(1억7503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