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정다원기자]30년 뒤인 2052년 우리나라의 1인 가구 비중이 41.3%에 달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10가구 중 4가구는 1인 가구라는 의미다. 1인 가구 중 60세 이상 고령 가구 비중이 60.3%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12일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가구추계(시도편): 2022~2052년`에 따르면, 지난 2022년 우리나라 총가구는 2166만4000가구에서 2041년 2437만2000가구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기 시작해, 2052년에는 2327만7000가구에 이를 전망이다.시도별로 2022년 대비 2052년, 서울·부산·대구·광주·울산·전북·경남을 제외한 10개 시도의 가구 수는 증가할 전망이다.2022년 시도별 총가구는 경기(537만), 서울(408만), 부산(144만) 순으로 많았으나, 2052년에는 경기(653만), 서울(397만), 인천(145만) 순이 될 전망이다.구체적으로 서울은 2022년 408만1000가구에서 2038년 427만6000가구까지 늘다가 줄기 시작해 2052년에는 396만8000가구(2022년 대비 –2.8%)까지 감소할 전망이다.경기는 2022년 536만8000가구에서 2044년 668만 가구까지 증가하다가 2052년에는 653만5000가구(2022년 대비 21.7% 증가) 수준이 된다.이외 세종은 2022년 15만1000가구에서 2052년 26만9000가구(2022년 대비 78.2% 증가), 제주는 2022년 27만5000가구에서 2052년 31만3000가구(2022년 대비 14.2% 증가) 수준이 될 전망이다.가구증가율은 2022년 총가구 기준 전년 대비 1.84% 증가했으나, 점차 감소해 2042년엔 마이너스로 전환하며, 2052년에는 -0.73%로 떨어진다. 2052년에는 세종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마이너스(-) 증가율이 나타날 전망이다.평균 가구원 수는 2022년 2.26명에서 2052년 1.81명까지 줄어든다. 2052년에는 세종이 1.93명으로 최고 수준이며 경북과 충남은 최저 수준인 1.65명까지 줄어든다. 모든 시도에서 평균 가구원이 2명 미만이 될 전망이다.   2052년 모든 시도에서 1인 가구 비중이 가장 높아지고, 강원·충북 등 12개 시도에서 40%를 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2052년까지 1인 및 2인 가구가 연평균 각각 7만4000가구, 6만9000가구씩 증가하면서, 1~2인 가구가 전체가구의 76.8%에 달하게 된다.2022년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 비중은 34.1%(739만 가구)다. 그러나 2052년엔 41.3%(962만 가구)로 7.2%포인트(p)(223만 가구) 증가한다.시도별 1인 가구 비중은 강원(45.7%)·충북(44.5%)·대전(44.1%) 순으로 높고, 세종(36.4%)·울산(38.2%)·경기(39.1%) 순으로 낮을 전망이다.1인 가구의 가구주 연령은 2022년 39세 이하 비중이 36.6%로 가장 높고, 60세 이상 35.0%, 40~59세 28.3% 순이다. 2052년에는 1인 가구 중 60세 이상이 60.3%로 가장 높아진다.향후 30년간 모든 시도에서 2인 가구 비중은 30%를 넘길 전망이다.2052년 2인 가구 비중은 울산(38.1%)·경북·부산(37.9%) 순으로 높고, 세종(30.9%)·서울(33.7%)·경기(34.6%) 순으로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모든 시도에서 2인 가구 중 60세 미만 비중은 감소하고, 60세 이상 비중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전국 2인 가구 가구주의 73.5%는 60세 이상이 된다. 2인 가구 중 60세 이상 비중은 2022년은 경북(59.9%), 전남(59.7%), 전북(58.6%) 순으로 높으나, 2052년엔 경남(81.1%), 경북(80.7%), 전남(79.4%) 순으로 높아질 전망이다.반면 향후 30년간 3인 가구 비중은 모든 시도에서 20% 미만으로 줄어들며 4인 가구는 16개 시도에서 10% 미만으로 감소한다.2022년 전체 가구 중 3인 가구 비중은 19.3%에서 2052년 15.2%로 4.1%p 줄어든다.2052년 3인 가구 비중은 세종(17.1%)·경기(16.8%)·울산(16.1%) 순으로 높고, 강원(11.9%)·전북(13.0%)·충북(13.2%) 순으로 낮을 전망이다.2022년 전체 가구 중 4인 가구 비중은 14.1%에서 2052년 6.7%로 7.4%p 감소한다.2052년 4인 가구 비중은 세종(13.3%)·경기(8.0%)·제주(7.1%) 순으로 높고, 경북(5.0%)·강원(5.4%)·전북·부산(5.5%) 순으로 낮아지게 된다.2052년이면 여자 가구주 비중이 모든 시도에서 30%를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서울·대전·부산 등 14개 시도에서 40%를 넘을 전망이다. 또 2052년 가구주 중위연령은 세종을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60세를 넘게 된다.2022년 전체 53.2세에서 2052년 65.4세로 12.1세 높아진다. 시도별로 세종(57.5세)만 50대이며, 경북(70.0세)·전남(69.9세)·경남(69.6세) 등 11개 시도는 65세를 넘을 전망이다.가구주가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는 2022년 522만5000가구에서 2052년 1178만8000가구로 2.3배로 증가한다. 고령자 가구 비중은 24.1%에서 50.6%가 된다.2022년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 비중은 전남(34.4%)·경북(31.5%)·전북(30.9%) 순으로 높고, 세종(13.3%)·경기(19.6%)·대전(20.5%) 순으로 낮다.2052년엔 경북 등 11개 시도에서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 비중이 50%를 초과할 전망이다. 경북(60.2%)·전남(60.1%)·경남(59.3%) 순으로 높고, 가장 낮은 세종도 35.8%에 이른다.30년 후엔 모든 시도에서 유배우 가구주 비중이 줄고, 미혼·이혼 가구주 비중은 늘어난다.2022년 가구주 혼인상태는 유배우(1267만 가구, 58.5%), 미혼(472만 가구, 21.8%), 사별(217만 가구, 10.0%), 이혼(210만 가구, 9.7%) 순이다.2052년에는 유배우(43.4%), 미혼(32.1%), 이혼(13.9%), 사별(10.6%) 순으로 변화한다.특히 미혼 가구 비중은 2052년에는 서울(41.9%)·세종(38.1%)·대전(36.7%) 순으로 높아질 전망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