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이태헌기자]대구상공회의소는 지역 제조업 160개사를 대상으로 지정학적 리스크(미-중 갈등, 러-우 전쟁, 중동 분쟁 등) 장기화 영향과 대응 실태에 대해 조사했다.   조사 결과, 지정학적 리스크가 기업경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68.8%가 ‘위험하다’고 응답했고, 반사이익이나 새로운 기회요인이 됐다는 긍정평가는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정학적 리스크 장기화로 발생한 피해로는 ‘에너지·원자재 조달비용 증가’(40.9%), ‘재고관리 차질 및 물류비 증가’(31.8%), ‘환율변동·결재지연 등 금융리스크’(30.9%) 순으로 나타났다. 지정학적 리스크 장기화로 응답기업의 40.6%는 기존 수출시장 외 신규 대체시장을 발굴하고 있다고 답변했고, 해외 조달 부품·소재를 국내에서 조달한다는 기업도 19.4%로 나타났다.   지정학적 리스크 대비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비가 필요하나 아직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했다’는 응답이 50.6%로 절반을 넘었고 ‘대응책을 이미 마련했다’는 기업은 6.9%에 불과했다.   이상길 대구상의 상근부회장은 “지역기업이 지정학적 리스크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대체시장 개척, 공급망 다변화, 환율변동에 따른 금융리스크 관리 등을 적극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