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정다원기자]저소득층 의료급여 수급권자 10명 중 7명은 국가암검진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소병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건강검진 수검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의료급여 수급권자 암검진 수검률은 29.7%로 나타났다. 반면 같은 기간 건강보험 가입자의 암검진 수검률은 59.8%로 조사됐다.구체적으로 지난해 건강보험 가입자와 의료급여 수급권자 암검진 수검률은 위암이 64.6%, 36.4%로, 대장암이 41.6%, 19.2%, 간암이 76.1%, 48.2%, 유방암이 65.1%, 46.4%, 자궁경부암이 61.2%, 31.9%, 폐암이 53%, 36.6%로 나타났다. 양측의 격차는 위암이 28.2%p(포인트), 대장암 22.4%p, 간암 28.1%p, 유방암 18.5%p, 자궁경부암 23.9%p, 폐암 16.4%p로 조사됐다. 최근 5년 건강보험 가입자와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일반건강검진 수검현황의 격차도 크게 벌어졌다. 건강보험 가입자 중 성인의 수검률은 2019년 74.9%, 2020년 68.9%, 2021년 75.4%, 2022년 76.8%, 2023년 77.5%로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의료급여 수급권자 중 성인 수검률은 2019년 38.1%, 32.2%, 40.5%, 40.9%, 36.6%로 감소세를 보였다. 영유아(0~6세) 건강검진에서도 의료취약계층인 의료급여 수급권자는 66.3%로, 건강보험가입자 76.7%에 비해 10.4%p 낮았다.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수검률이 낮은 이유로는 `평소 병원을 많이 다녀서`가 40.4%, `생계활동 등 시간이 부족해서`가 20.4%, `추가 비용에 대한 부담`이 4.9%, `검진 안내를 못받아서`가 3.1%로 나타났다. 소병훈 의원은 "저소득층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낮은 암검진 수검률은 질병의 조기발견을 어렵게 해 암사망률이 높아질 수 있는만큼, 검진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홍보 및 교육 강화 등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