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정다원기자]미혼남녀의 결혼의향이 65.4%로 6개월 전보다 4.4%포인트(p)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없는 미혼·기혼남녀의 출산의향은 32.6%에서 37.7%로 5.1%p 높아졌다.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저고위)는 결혼·출산·양육에 대한 의향 및 태도, 정부 저출생 대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등에 관해 조사한 `결혼·출산·양육 및 정부 저출생 대책 인식조사` 결과를 14일 발표했다.조사 결과, 결혼 자체에 대한 긍정적 인식 비율과 결혼 의향은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의향 증가와 함께 결혼에 대한 긍정인식은 지난 3월 70.9%에서 71.5%로 0.6%p 증가했다.출산 의향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있어야 한다는 인식은 68.2%로 3월 조사 대비 7.1%p 상승했다. 무자녀 남녀의 출산 의향은 37.7%로 5.1%p 증가했다. 무자녀 여성 중 만 25~29세 출산의향은 28.1%로 1.7%p 늘었다. 만 30~39세는 35.7%로 5.1%p, 만 40~49세는 18%로 5.7%p 각각 증가했다.이상적인 자녀 수에 대한 응답은 평균 1.8명으로 3월과 비슷했다.자녀를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보내지 않고 가정 내에서 돌보기를 원하는 기간은 13~24개월 정도가 31.3%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어 25~36개월(29.5%), 37개월 이상(21.9%) 등이 뒤를 이었다.저고위 관계자는 "육아휴직 등 일·가정 양립제도를 통한 부모의 육아시간 확보가 필요함을 다시 확인했다"고 밝혔다.지난 6월 정부가 발표한 `저출생 추세 반전을 위한 대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10명 중 6명 이상이 `들어봤거나 알고 있다`고 답했다.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한 분야별 중요도는 일·가정양립 지원, 양육 지원, 주거 등 결혼·출산 지원 등 3대 핵심분야 모두에 대해 높게 나타났다.3대 핵심 분야별 주요과제에 대해 중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높은 상위 3개 과제는 모두 일·가정 양립과 관련된 과제로 나타났다.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육아기 유연근무 사용 활성화` 과제가 강화·확대될 필요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소아의료서비스 이용 편의성 제고`, `주말·야간 등 긴급 돌봄서비스 확대`, `임산부 근로시간 단축` 등에 대한 추가 대책 요구도 높았다.주형환 저고위 부위원장은 "인식조사를 통해 인지도, 기대효과가 낮은 정책에 대해서는 정책 안내·홍보 및 개선을 추진하고, 확대·강화 요구가 높은 정책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보완 대책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