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정다원기자]"여성 지원자의 이력서가 들어왔는데 남자 팀장이 `육아휴직을 쓰면 피곤하니 뽑지 말자`고 말했다."직장갑질119로 제보된 성차별 사례 중 하나다. 직장인 중 상당수가 성차별적인 조직 문화가 여전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13일 나타났다. 직장갑질119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10일 전국 만 19세 이상 직장인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성차별 조직문화지수`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는 직장 내 성차별 묻는 여러 지표에 평균 66점을 매겼다.성차별 조직문화지수는 직장에서 겪을 수 있는 주요 성차별 상황을 20개 문항으로 만들어 동의하는 정도를 0점부터 100점까지 수치화한 것이다.응답자가 △매우 그렇다(0점) △그런 편이다(25점) △보통이다(50점) △그렇지 않은 편이다(75점) △전혀 그렇지 않다(100점)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했다.직장인들이 가장 낮은 점수를 매긴 항목은 `주요 직책`이었다. 응답자들은 `전체 직원 성별 대비 특정 성별이 상위 관리자급 이상 주요 직책에 압도적으로 많다`는 질문에 55.3점을 줬다. 뒤이어 `모성`과 `노동조건`이 낮은 순위를 기록했다. `임신·출산·육아휴직을 자유롭게 사용하기 어렵다` `동일한 업무를 하는데 성별에 따라 임금이나 노동조건에 차이가 있다`는 항목이 각각 56.1점과 57.0점을 받았다. 성별로 나눠 보면 `모성`과 `승진`이 특히 눈에 띄었다. 여성이 육아휴직 등을 자유롭게 쓸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모성` 지표에서 남성에 비해 6점이나 낮은 52.9점을 기록해 큰 차이를 보였고, `승진`에서도 여성은 남성보다 5.3점이 낮은 55.3점을 매겼다.설문조사 외에 직장갑질119로 들어온 제보 중 성차별로 부당한 처우를 받는 경우도 있었다. 지난 8월 제보에 따르면 피해자가 성희롱 신고를 하기 전에는 재계약을 걱정하지 말라고 했는데, 신고 직후 태도가 바뀌어 계약 종료를 통보 당했다고 한다. 또 다른 제보로는 지속해서 성희롱 한 매니저를 신고하려고 한 피해자를 관리자가 만류한 사례가 있었다. 해당 관리자는 다른 사람에게 비밀로 하라고 입단속을 시키다 정규 인사 때 피해자에게 조용히 부서를 이동하라고 이야기했다고 한다. 박은하 직장갑질119 노무사는 "직장이 여전히 여성들에게 차별적인 환경으로 남아있다"며 "제도가 여전히 충분하게 작동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