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정다원기자]최근 5년간 폐업한 의료기관에서 처리현황이 확인되지 않은 마약류가 280만 개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최보윤 국민의힘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폐업 의료기관 마약류 관리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9~2023년까지 5년간 폐업 의료기관의 미처리 마약류가 총 282만8659개에 달했다.성분별로 살펴보면 향정신성의약품이 약 280만 개로 대부분을 차지했다.항불안제인 디아제팜이 약 183만 개로 가장 많았고, 알프라졸람 약 16만 개로 뒤를 이었다. 수면진정제인 졸피뎀도 약 10만 개에 달했다.마약성 진통제의 경우 펜타닐, 옥시코돈 등 총 3만여 개가 처리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문제는 이미 지난해 감사원이 `마약류 관리실태` 감사를 통해 이 문제의 심각성을 지적한 바 있다는 점이다.당시 감사원 감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2019~2022년까지 4년간 폐업한 의료기관 920개소에서 174만 개의 마약류 재고가 확인됐다.이 중 131만 개는 마약류 양도·폐기한 수량을 미입력하거나 구입 수량을 과다 입력한 사례였으며 35만 개는 처리 사실을 확인할 수 없어 수사 의뢰됐다. 이 중 8만 개는 마약류취급자 사망, 재고량 소량 등으로 종결됐다.하지만 감사원 지적 이후에도 지난 한 해 동안에만 폐업한 의료기관 160개소에서 108만 개의 마약류 재고가 새롭게 확인됐다.이 중 10만 개는 양도·폐기한 수량 미입력 사례로 확인됐으며 97만 개는 지자체 수사 의뢰 대상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최보윤 의원은 "폐업 의료기관의 미처리 마약류가 불법 유통될 경우 심각한 사회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의료기관 폐업 시 마약류 관리를 의무화하는 등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이어 "의료기관 관리감독 권한을 가진 각 지방자치단체는 관내 폐업 의료기관의 마약류 재고관리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폐업 신고 단계부터 마약류 처리 완료 시까지 철저한 관리감독을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