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정다원기자]교사의 직접 요청으로 학기 중 담임이 교체되는 사례가 3년 만에 2배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9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정성국 국민의힘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국공립 교원 담임 교체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교사 본인 요청으로 담임이 교체된 인원은 총 124명이었다. 2020년 54명에서 △2021년 90명 △2022년 118명 △2023명 124명으로 늘며 3년 만에 2.3배 증가했다. 올해는 7월 기준 55명이 교체됐다.학부모 요구로 지난해 교체된 담임교사는 79명이었다. 2020년 17명에서 △2021년 52명 △2022년 88명으로 증가세를 보여왔다. 올해는 7월 기준 33명이 학부모 요구에 따라 교체됐다.특히 학부모 요청에 따른 초등교사 교체가 두드러졌다. 자료에 따르면 매년 학부모 요구에 따른 교체 중 70~80%가 초등교사 건이었다. 2020년엔 88.2% △2021년 71.2% △2022년 81.8% △2023년 82.3%이었다.또 지난해 당사자·학부모 요청으로 지난해 교체된 담임교사 중 초등교사는 총 125명(61.6%)이었다. 중학교는 36명(17.7%), 고등학교는 42명(20.7%)으로 조사됐다.올해도 7월 기준 초등학교 교사가 50명(56.8%)이 교체되며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중학교는 18명(20.5%), 고등학교는 20명(22.7%)이었다.이 같은 교사 교체의 원인으로는 교권 침해 등에 따른 의욕 상실이 꼽힌다. 앞서 7월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교권 침해 건수는 총 5050건으로 2019년(2662건)과 비교해 4년 새 1.9배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