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박세명기자] 의성군은 지난 7~8일까지 영남대학교 천마아트센터에서 지난 10년간 세포배양산업을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육성해온 2024 세포배양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해 관심을 끌었다. 군은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세포배양산업의 현주소를 짚어보고 향후 정책과 산업화 방향 모색을 위해 최신 세포배양기술 동향과 응용산업이란 주제로 진행됐다.심포지엄은 △세포배양 최신 이론과 기술 △배양육 연구 및 산업동향 △천연물의 산업화전략: 인실리코 기술과 세포배양의 만남이란 3개 세션으로 구분해 실시했다.행사는 국가 차원바이오산업 육성 기조와 배양육 등 세포배양식품 산업을 정부, 지자체관계자, 국내외 세포배양전문가, 삼성바이오에피스, CJ,한화솔루션이 참가했다.이어 SK바이오사이언스 등 국내 유수 대기업을 포함 세포배양산업 전후방 기업 관계자 등 총 1천여 명 이상 방문해 정부정책 의견 공유와 산업화 방안에 목적이 있다.특히, 첫째 날 개회식에서 고한승 한국바이오협회 회장(삼성바이오에피스 대표)이 `세포배양기술의 중요성과 지역 내 인프라 구축 필요성`을 주제로 발표했다는 것.둘째 날은 세계적비영리단체GFI(Good Food Institute)의 Bruce Friedrich 회장이 `차세대 농업 혁명` 주제의 강연을 통해서 세포배양산업 육성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각 세션별 토론에서는 산학연관 전문가들의 심도있는 토론을 통해 동물세포 배양공정 개발, 배양육 및 세포배양 배지개발 등 다양한 의견과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군은 이번 행사를 주관한 영남대 세포배양연구소와 협력관계를 통해 지난해 의성 바이오밸리 일반산업단지 내 영남대 세포배양연구소 분원을 개설했다.또한, 군은 지난해 세포배양산업 지원센터 개소에 이어 의성 바이오밸리 일반산업단지 착공, 세포배양 배지 제조공장 등 관련 인프라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올해는 세포배양식품 규제자유특구 사업이 최종 선정돼 사업비 205억원을 확보, (재)경북테크노파크, 특구 사업자와 함께 다음해부터 본격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이처럼 의성군의 세포배양 배지, 세포배양 식품 및 관련 소재‧부품 산업의 연구개발과 산업화를 위한 사업이 일정 궤도에 오르게 될수 있는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다. 군은 바이오산업의 핵심 기술인 세포배양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해 향후 지역의 산업구조를 개편하고 국가 바이오산업 활성화의 목표 달성을 위해 정진할 방침이다.김주수 군수는 "이번 심포지엄을 계기로 앞으로도 세포배양산업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로 군이 대한민국 세포배양산업 메카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