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권용성기자]최일선에서 국방을 담당하는 군에서, 체력은 필수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 군을 이끌어가는 장교들의 체력 수준이 과거에 비해 크게 하락한 것으로 드러났다. 7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임종득 의원(영주.영양.봉화)이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장교 체력측정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3년 1급 이상 체력 수준을 보유한 장교 인원은 총 64.3%로 2019년 대비 10.7% 하락한 것으로 확인됐다. 3급 수준도 안돼서 아예 불합격한 인원도 2.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인은 1년에 1번씩 체력 검정을 의무적으로 실시한다. 체력검정 종목은 3km 달리기, 윗몸일으키기, 팔굽혀펴기로 `특급, 1급, 2급, 3급` 4개 등급으로 판정해 `특급, 1급`은 우수 체력 인원으로 분류한다. 육군의 경우 2019년 88%이던 1급 이상 체력 보유자는 2023년 78.3%로 9.7% 하락했고, 장성 계급의 하락 폭이 11.4%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해군은 체력 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1급 이상 체력 수준 보유 인원이 65.8%였는데 2023년에는 52.9%로 무려 12.9%나 하락했다. 육군과 마찬가지로 장성 계급의 하락폭이 26%로 가장 컸으나 연령대를 고려해 평균 신체 능력이 가장 좋아야 할 위관급 장교의 1급 이상 체력 수준이 50%도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군은 육군과 비슷한 하락 폭을 보였다. 2019년 71%이던 1급 이상 체력 보유 인원은 2023년 61.8%를 기록해 9.2% 하락한 수치를 보였다. 장성, 영관급에서 큰 폭이 하락했고 위관급의 경우 2019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위관급 장교의 1급 이상 체력 수준이 60%를 넘은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종득 의원은 "군인의 기본은 체력이라고 할 수 있는데 군을 이끌어가야 할 장교들의 체력 수준 하락은 강군 육성에 역행하는 것"이라며 "체력 수준이 떨어진 원인을 면밀히 분석해 기초 체력 수준을 제고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전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