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정다원기자]지난해 직장가입자 상당수가 낸 건강보험료보다 더 적은 보험급여 혜택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2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출받은 `가입 자격별 보험료 부과 대비 급여비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직장가입자는 69조2225억원의 보험료를 냈다. 이들이 병의원이나 약국 등을 이용해 받은 급여는 51조7천억원으로 집계됐다.반면 지난해 지역가입자는 9조9317억원 규모 보험료를 냈다. 이보다 2.8배 많은 27조6548억원의 보험급여를 받았다.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의 급여 불균형은 심화하고 있다. 지역가입자에게 부과된 보험료와 받은 급여액의 차이는 지난 2020년 10조6천억원에서 지난해 17조7천억원으로 증가했다.직장 가입자에게 부과된 보험료와 급여액 차이는 지난 2020년 마이너스(-) 9조8천억원에서 2023년 17조5천억원을 나타냈다.소득분위별로 보면 지역가입자는 최고 소득분위인 10분위(상위 10%)를 제외하고 모든 구간에서 낸 보험료보다 보험급여를 많이 받았다. 반면 직장가입자는 1~3분위(소득 하위 10~30%) 구간만 낸 보험료보다 보험급여가 많았다.김선민 의원은 "최근 지역가입자의 재산보험료를 낮춰주는 부과 체계 개편 등을 통해 지역가입자에 비해 직장가입자의 부담 차이가 점점 증가하고 있어 가입자 간의 공평한 보험료 부과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말했다.이어 "단편적으로 보면 직장보험 가입자들이 더 많이 내고 적게 받아 가는 보험급여를 지역가입자들이 가져가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며 "보건복지부는 소득 중심뿐 아니라 가입자 간 건강보험료 부과 체계에 대한 검토를 시급히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