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조필국ㆍ정다원기자]대구‧경북지역의 아동인구가 지난 7년간 18만8천명 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다문화 아동인구는 7천명 늘어나는 등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25일 동북지방통계청이 발표한 `아동 인구·가구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지난 2022년 대구의 아동인구(18세미만)는 32만5천명으로 2015년 대비 23%(9만7천명) 감소했다. 아동인구 비율은 13.7%로 2015년보다 3.4%p 줄었다.아동 가구는 20만6천가구로 2015년 대비 6만 가구, 아동가구 비율은 20.4%로 8.2%p 각각 줄었으며, 가구당 아동 수는 1.56명으로 0.01명 감소했다.다만 다문화 아동인구는 1만명으로 2015년 대비 37.6%(3000명) 늘어 전국 평균(32.7%)보다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아동인구 비율 역시 3.2%로 2015년 대비 1.4%p 증가했으나 전국 평균(4.3%p)에는 못미쳤다. 다문화 아동 가구도 7000가구로 2015년 대비 32.7%(2000가구) 늘었다.아동가구의 부모의 평균 연령은 부 43.8세, 모 41.4세로 2015년 대비 부 1.4세, 모 1.5세 각각 높아졌다.아동의 양육 유형을 보면 양부모 양육 89.2%, 한부모 양육 8.2%, 부모 미양육 2.6%로 전국 대비 양부모 양육은 1.2%p 높았으나 한부모 양육과 부모 미양육은 각각 0.2%p, 1%p 낮게 집계됐으며, 한부모 중 모 양육비율은 67.9%로 부 양육(32.1%)보다 2배 이상 많았다.다문화 아동 양부모 양육 비율은 74.7%로 2015년 대비 4.7%p 감소했으나 한부모 양육은 20.6%로 4.7%p 증가했다.양부모 양육 가구의 취업 비율은 98.6%로 2015년 대비 1.8%p 늘었다. 이 중 양부모 가구의 맞벌이가구 비율은 69.7%로 전국(72.5%) 대비 2.8%p 적었고, 외벌이 가구 비율은 28.9%로 전국(26.3%)보다 2.6%p 많았다.한부모 양육 가구의 취업가구 비율은 80.4%로 2015년 대비 8.7%p 증가했으나 전국(84.8%)보다는 4.4% 낮다.양부모 양육 가구의 가구당 아동 수는 맞벌이와 외벌이 모두 1.58명으로 집계됐으며, 외벌이의 경우 부 외벌이가 1.59명으로 모 외벌이 1.55명보다 0.04명이 많았다.부모 소득별 가구당 아동 수는 부모 소득 1억원이상이 1.6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7천만~1억원(1.59명), 5천만~7천만원·1천만원 미만(1.58명), 1천만~3천만원(1.57명), 3천만~5천만원(1.55명) 순이다.부모의 육아 휴직률은 11.3%로 2015년 대비 3.5%p 증가했으나 전국(11.7%) 보다 0.4%p 낮았다. 부의 육아휴직률은 4.2%로 모(22.1%)보다 17.9%p 낮았으나 2015년 대비 3.7%p 증가했다. 모의 육아휴직률은 2015년 대비 1%p 늘었으나 전국(22.7%) 대비 0.6%p 낮았다.아동가구의 주택소유 비율은 64.8%로 2015년(61.1%) 대비 3.8%p 증가했으며 전국(61.5%) 보다 3.3%p 높았다.   경북의 아동(0~18세 미만)인구는 지난 2022년 34만명으로 2015년 대비 9만1천명(21.1%) 감소하고, 다문화 아동인구는 1만8천명으로 2015년보다 4천명(30.9%) 증가했다.아동가구(18세 미만 아동이 사는 가구)는 20만7천가구로 2015년보다 20.2% 감소하고, 전체 가구 중 비중은 17.7%이며, 가구당 아동수는 1.59명이다.초1학령인 7세 아동의 부모 연령은 부 41.4세, 모 38.7세로 나타났으며, 영유아(0~6세) 부모 중 40세 이상은 ’15년보다 부 12.9%p, 모 12.2%p 증가했다.또한 다문화 아동가구(부 49.0세, 모 36.3세)는 부가 모보다 12.7세 많다.한부모양육은 아동연령이 높을수록 증가하며, 13~17세(12.2%)가 0~6세(4.5%)보다 7.7%p 높았다. 또한 모 양육(62.2%)은 부 양육(37.8%)보다 2배 많았다.부의 육아휴직률(4.2%)은 2015년보다 10배 증가했으나, 모(21.2%)의 1/5 수준이며, 아동 연령별로는 0~1세에서 65% 이상 높다가, 2~6세까지 점차 감소한 후 7세에서 증가한다.어린이집 및 유치원은 2015년보다 시설수 24.5%, 인원 27.3% 감소했다. 한편 아동가구의 주택소유 비율은 64.5%로 전국보다 3.0%p 높다.초중고 사교육 참여율은 72.8%로 전국보다 5.5%p 낮고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81.4%)가 가장 높으며, 또한 월평균 사교육비는 29.4만원으로 전국보다 11.6만원 적으며, 부모 교육정도가 모두 대졸과 고졸간의 격차는 사교육 참여율이 17.6%p, 월평균 사교육비가 11.6만원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