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 덕분에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이 2년 연속 감소했다고 한다. 원전이 안정적 에너지원임과 동시에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수단이라는 사실이 다시한번 확인된 셈이다. 이제 더 이상 탈원전 정책을 들고 나와선 안 된다. 아무런 과학적 근거도 없는 괴담은 우리 사회에 온갖 해악과 피해만 주고 있다. 당장 문재인 정부 때 탈원전 정책으로 인해 우리는 잃은 것이 너무 많았다. 당장 원전도시 울진과 경주경제가 큰 피해를 입었다. 환경부 산하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2023년 온실가스 잠정 배출량을 분석한 결과 전년 대비 4.4%, 약 2900만t 감소했다고 10일 밝혔다. 2022년 3.5% 줄어든 데 이어 2년 연속 배출량이 감소한 것이다. 2018년과 비교하면 5년 만에 1억t이나 줄었다. 이에 대해 센터는 "원전을 비롯한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노력이 효과를 보인 것"이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지난해 전체 발전량에서 원전이 차지하는 비중은 30.68%로, 문재인 정부가 탈원전을 추진한 2018년(23.4%)과 비교해 7%포인트 넘게 증가했다.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원전의 기능은 국제사회도 인정하고 있다. 지난해 말 아랍에미리트(UAE)에서 개최된 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28)에서는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원전의 역할을 공식 인정했다. 그러면서 22개 국가가 2050년까지 원전을 현재의 3배까지 늘리기로 했다. 이에 따라 그동안 신재생에너지에 집중했던 유럽 선진국들도 앞다퉈 원전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1000조원 넘는 시장이 열린 것이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지난 7월 24조원 규모 체코 원전을 수주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인정받았다.문재인 정부는 원전 위험성을 부풀리고 경제성을 깎아내리며 탈원전을 밀어붙였다. 그 후유증은 아직도 남아 있다. 울진 신한울 3ㆍ4호기 건설에 투입됐던 원전 인재들이 탈원전으로 직장을 잃고 뿔뿔이 흩어졌다. 이로인해 울진경제는 파탄이 났다. 정부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원전 4기를 추가로 건설하기로 했다. 원전뿐 아니라 송전망과 방사성폐기물처리장까지 기피시설 갈등이 불가피하다. 과학을 존중하고 괴담을 배격한다면 못 해낼 것도 없다. 체코 원전 수주를 계기로 다시한번 원전의 중요성을 깨달아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