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정다원기자]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 응시 지원한 졸업생이 21년 만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도 의대 증원을 노리고 `상위권 N수생`이 대거 도전장을 내민 것으로 보인다.과학탐구보다 공부량이 적은 사회탐구에 응시하는 `사탐 런` 현상이 심해졌고, 내신보다 수능으로 승부를 보려는 검정고시 출신자의 지원도 늘었다.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6일까지 2025학년도 수능 응시원서를 접수한 결과 수험생 총 52만2천670명이 지원했다고 11일 밝혔다.재학생이 34만777명(65.2%), 졸업생이 16만1천784명(31%), 검정고시 등 출신이 2만109명(3.8%)으로 각각 집계됐다. 1년 전(50만4천588명)과 비교해 전체 지원자는 3.6% 늘었다. 재학생은 4.3%, 졸업생은 1.3%, 검정고시 등은 10.5% 각각 증가했다.졸업생보다 재학생이 더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졸업생 비중은 1년 전(31.7%)보다 0.7%포인트 하락했다.그러나 졸업생 지원자 규모 자체는 2004학년도(18만4천317명) 이후 가장 많아졌다.종로학원이 6월 모의평가와 본수능 접수자의 차이로 추정한 `반수생` 지원자는 9만3천195명으로, 10만명에 육박했다. 이는 평가원이 자격별 응시자 수를 공개한 2011학년도 이후 최고치다.반수생은 통상 대학 입학 후 1학기를 마치고 재수에 뛰어드는 학생을 말한다. 검정고시 등 출신 지원자도 1995학년도(4만2천297명) 이후 가장 많다.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대면수업을 힘들어해 학교를 자퇴하는 학생이 늘었고, 내신 성적이 좋지 않을 경우 수능 시험으로 승부를 보겠다는 학생 또한 늘어난 영향으로 보인다.성별로는 남학생 지원자가 26만8천699명(51.4%), 여학생이 25만3천971명(48.6%)으로 각각 집계됐다.영역별로는 국어 51만8천501명(99.2%), 수학 49만3천279명(94.4%), 영어 51만3천737명(98.3%), 탐구 50만9천590명(97.5%), 제2외국어/한문 9만3천618명(17.9%)이 응시 지원했다.필수 영역인 한국사에는 모든 지원자가 응시를 신청했다. 선택과목이 있는 국어에선 `화법과 작문`을 33만1천616명(64%), `언어와 매체`를 18만6천885명(36.%)이 각각 골랐다.수학에선 `미적분`을 가장 많은 24만4천408명(49.5%)이 선택했고, 이어 `확률과 통계` 23만3천111명(47.3%), `기하` 1만5천760명(3.2%) 순이다. 사회·과학탐구 지원자 중에선 26만1천508명(51.8%)이 사회탐구만, 19만1천34명(37.9%)은 과학탐구만 선택했다.올해 수능은 11월 14일 시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