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단된 대구경북(TK) 행정통합 문제가 정부차원에서 다시 논의의 장이 마련돼 재추진된다. 하지만 이미 한번 시들은 꽃이 다시 피어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지난 6일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과 김민재 행안부차관보 황순조 대구시기획조정실장, 김호진 경북도기획조정실장 등이 모임을 갖고 논의가 중단된 TK 행정통합 문제를 다시 논의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윤석열 대통령도 “TK 행정통합은 어떻게든 성사시키라”고 우 원장에게 단단히 지시한 상태다.
이날 모임은 대구시와 경북도가 주도해 통합방안을 논의하되 통합자치단체의 종류와 광역. 기초단체 간 관계 등 일부 사안에 대해서는 행안부와 지방시대위가 논의를 지원하기로 했다고 한다. 결국 대구시와 경북도가 쟁점으로 삼았던 부분에 대해 정부가 나서 중재해 주겠다는 것이다. 장기과제로 넘어갈 뻔한 TK 행정통합의 불씨가 다시 살아날지 주목된다. 행정통합은 시·도민의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혀 실패할 확률이 높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지역의 숙원이자 시·도민의 염원인 통합에 대해 90% 합의했다고 밝혔지만 통합청사와 시군권한 문제가 터져나오면서 결국 불발됐다. 양쪽의 의견이 첨예하다보니 합의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TK 행정통합은 수도권 일극주의에 대응해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정체된 대한민국의 경제성장을 위한 필사적 조치다. 특히 대구와 경북 젊은이의 미래를 위해선 반드시 넘어야 할 장벽임에도 이해관계로 합의점을 찾지 못한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정부는 대구와 경북의 행정통합을 계기로 대한민국 행정체제 전반의 변화를 모색하고자 한다. 지자체의 권한을 광범위하게 부여함으로써 대한민국의 균형발전을 이룩하는 데 TK통합을 성공 사례로 삼고자 하는 것이다.정부 차원의 관심과 지원이 따르는 것은 당연하고 부산권·충청권·호남권 등에서도 예의주시하며 지켜보고 있다. 대구경북이 합치면 한반도 제2의 도시가 된다는 것이 괜한 말이 아니다. 대구시가 밝힌 기대효과에서 대구경북은 일자리, 인구, GRDP, 사업체 수 등에서 적게는 2배 많게는 8배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돼 있다. TK 통합이 지역의 발전은 물론 미래 100년을 내다보는 국가적 프로젝트다. 이번에 다시 논의를 재개한 것은 골든타임을 놓치지 말자는 뜻도 있다. 문제는 통합 당사자인 대구와 경북이다. 지금과 같은 입장을 고수한다면 통합은 어려울 것이다. 아무리 정부차원에서 통합을 주문해도 당사자들이 싫다면 어쩔 수 없다. 아무튼 정부차원에서 재추진되는 만큼 이번엔 반드시 성공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