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종태기자]한국교육방송공사(EBS)가 제작하는 교재가 오류, 보완, 수정 등의 사후정정으로 인해 매해 평균 126만부씩 폐기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이상휘 국민의힘 의원(포항 남‧울릉)이 EBS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EBS에서 제작된 교재 부수는 ▲2019년 1,493만부 ▲2020년 1,349만부 ▲2021년 1,298만부 ▲2022년 1,209만부 ▲2023년 1,070만부였다. 지난 5년간 총 제작부수는 6,419만부로 총 1,066억원을 지출했다.폐기교재는 ▲2019년 134만1,000부 ▲2020년 99만3,000부 ▲2021년 150만9,000부 ▲2022년 149만4,000부 ▲2023년 94만4,000부로 총 628만1,000부였다. 매해 평균 전체 9.8%에 달하는 126만부의 교재가 폐기 처리되는 것으로 5년간 교재 폐기비용도 106억원에 달했다. 폐기교재 가운데 수능 연계교재(43%)가 가장 많았고 고등학교(40%), 초등(14%), 중등(3%) 순이었다. 교육과정 개편뿐만 아니라 EBS의 시험대비용 단기 판매 교재, 학교별 맞춤 교재 등 이벤트성 교재에서 오류가 다수 발생해 높은 폐기 비율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능 연계교재 정정 건수 현황은 ▲2019년 178건 ▲2020년 169건 ▲2021년 140건 ▲2022년 181건 ▲2023년 200건으로 2021년 이후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지난해 수능 연계교재에서 내용 오류 55건, 내용 보완 93건으로 단순 수정이 아닌 내용 정정 건수가 74%에 달했다. 이 의원은 “EBS 교재 폐기문제는 매년 지적받는 사항임에도 충분한 검토가 이뤄지지 않은 채 발행되기 때문이다”며, “수능 연계교재의 높은 폐기율은 수험생의 혼란을 더욱 야기하는 일로 ‘내 아이가 EBS 교재로 공부한다’는 생각으로 심각성을 인지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