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정다원기자]추석연휴를 열흘 앞두고 주요 수산물 가격이 꿈틀대고 있다. 5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참조기(냉동) 1마리 소매가격은 전날 기준 1천754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30.1% 높다. 2019년부터 작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보다도 30.2% 높다.조기를 소금에 절이고 해풍에 말린 굴비는 1마리 2천763원으로 작년 동기와 평년보다 37.1% 비싸다.대표적인 제수(祭需·제사에 쓰는 음식)인 참조기와 굴비 가격이 오른 것은 어획량이 줄었기 때문이다.수산업계 관계자는 "수산물은 어획량이 많아 재고가 충분한 상태에서 시중에 풀려야 가격이 안정되는데, 조기는 수년째 어획량이 감소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참조기의 경우 제주도 앞바다와 추자도 인근 저층 냉수대에 어장을 형성하는데, 기후변화로 냉수대 온도가 변하면서 어군 형성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기후변화로 인한 어획량 감소 현상은 지속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조기 어획량은 2020년 4만1천t(톤), 2021년 3만1천600t, 2022년 1만6천400t, 작년 1만5천100t 등으로 감소 추세다.추석 선물로 자주 활용되는 김 가격도 오름세다.연초 장당 100원을 밑돌던 김 소매가격은 전날 장당 135원으로 올랐다. 이는 작년 동기보다 38.0%, 평년보다 49.1% 각각 오른 가격이다.한국소비자원이 추석을 앞두고 백화점 3사(롯데·신세계·현대)와 대형마트 3사(이마트·롯데마트·홈플러스)의 추석 선물 세트 가격을 조사해보니 김 가격은 지난 설보다 최대 56.3% 올랐다.대중성 어종인 물오징어(냉장) 가격은 전날 기준 5천159원으로 작년 동기와 평년보다 각각 13.3%, 17.3% 비싼 수준이다.해수부는 추석을 앞두고 수산물 가격 안정화를 위해 비축 수산물 1만2천560t을 시장에 풀고 있다.어종별로 보면 오징어 2천t, 참조기 160t, 명태 9천t, 고등어 900t, 갈치 450t, 마른 멸치 50t 등이다.아울러 역대 최대 규모인 3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마트와 전통시장, 온라인몰 등에서 할인·환급 행사도 진행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