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정다원기자]소득 흐름이 불안정한 20대 이하의 신용카드 이용 금액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우리금융경영연구소가 통계청 `빅데이터 활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3~9일 국내 신용카드 이용 금액은 1년 전보다 0.8%(12주 이동평균) 증가하는 데 그쳤다.주간 단위 신용카드 이용 금액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관련 통계가 작성된 지난 2021년 1월 첫째 주 이후 최근까지 추세적으로 하락해왔다. 2021년 4~5월 10%를 웃돌았던 증가율은 높은 변동성 속에서도 지난해 연중 플러스를 유지했다. 올해 1~2월까지도 5% 안팎을 기록했다.연령대별로 나눠보면, 20대 이하의 증가율 하락이 두드러졌다.지난달 3~9일 20대 이하의 신용카드 이용 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9.0%(12주 이동평균) 감소했다. 같은 시기 30대(-0.3%)와 40대(-1.4%)도 마이너스를 기록했지만 감소 폭은 크지 않았다.상대적으로 고령인 50대(+2.0%), 60대(+7.1%), 70대 이상(+15.3%) 등은 오히려 이용 금액이 1년 전보다 증가해 대조를 보였다. 20대 이하의 신용카드 이용 금액은 지난해 3월부터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로 돌아선 뒤 최근까지 증가율이 -9~10% 수준을 맴돌고 있다.청년층이 지갑을 닫은 채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한국은행의 최근 경제 진단과 비슷한 맥락으로 보인다.한은은 지난달 22일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내수는 회복 흐름을 재개했지만, 회복세가 더딘 것으로 평가된다"고 지적했다.이창용 한은 총재는 간담회에서 그 배경 중 하나로 "최근 고용이 늘어나고 있는데, 많은 부분이 고령층"이라며 "소비 여력이 큰 20대∼40대 고용은 줄어들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