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박세명기자] 봉화 경로당 농약 음독 사건이 발생한 지 한달째로 접어들었지만 아직 범인이 잡히지 않아 오리무중 상태다.  경찰은 "사건 실마리를 풀 유의미한 증거를 다수 확보했다"며 막바지 수사에 자신감을 나타내고 있지만 자칫 미스터리에 빠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경찰 관계자는 15일 "이달 말 전까지 수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며, 발표 전까지 수사를 계속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사건은 초복이었던 지난달 15일로 거슬러 올라간다.이날 봉화군 봉화읍 내성4리의 경로당 회원 41명이 점심으로 오리고기를 먹고 이 중 A 씨 등 4명이 경로당에 들려 커피를 나눠 마신 후 이날 오후부터 다음 날 오전까지 차례로 쓰러져 중태에 빠졌다.사흘 후인 18일에는 80대 B 씨가 같은 증세로 쓰러져 중태에 빠졌다. 병원 검사 결과 앞서 쓰러진 A 씨 등 4명의 위 세척액에서 살충제 성분의 농약인 에토펜프록스와 터부포스 등 2가지가 검출했다.중태였던 할머니 5명 중 3명은 가까스로 건강을 회복해 퇴원했으나, 1명은 여전히 중태이며 마지막에 쓰러진 B 씨는 지난달 30일 숨졌다.B 씨는 사건 발생 사흘 후인 7월18일 봉화군에서 시행하는 노인 일자리 사업에 참여해 4시간 근무를 마친 후 `병원에 간다`며 나와, 마을 인근에서 노인들과 함께 화투를 쳤다. 이후 은행에 들러 자기 재산 중 일부를 찾아 가족에게 전달하고, 병원을 찾아가 진료를 받던 중 쓰러진 것으로 확인됐다.B 씨의 위 세척액에서는 앞서 쓰러진 4명의 위 세척액에서 검출된 농약 성분 외에 다른 살충제 2개와 살균제 1개 성분이 추가로 검출됐다.경찰은 사건 발생 직후 현장 감식을 통해 감정물 400여점과 주변 CCTV, 블랙박스 등 86개 자료를 확보해 분석했다. 또 관련자 등 70여명에 대한 면담 조사를 실시하고, 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DNA 검사와 피해자들의 집을 수색하기도 했다. 수사 과정에서 경찰은 "사건 당일 B 씨가 커피를 마시지 않았다", "경로당 운영 시스템을 놓고 회원간 불화가 있었다"는 진술과 함께 살충제가 든 용기 등 사건의 실마리를 풀 유의미한 증거를 다수 확보했다. 이 사건에 대해 일부 전문가는 "과거 발생한 여러 사건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지난 2015년 `상주 농약 사이다 사건`은 상주시 공성면의 한 마을회관에서 할머니 7명 중 6명이 냉장고에 든 사이다를 마신 후 2명이 숨지고 4명이 중태에 빠졌다.수사 결과 화투를 치다 피해자들과 다툰 80대 여성이 이들을 살해하기 위해 마을회관 냉장고에 있던 사이다에 농약을 탄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2016년 발생한 `청송 농약 소주 사건`은 청송군의 한 마을회관에서 주민 2명이 농약이 든 소주를 마셔 1명이 숨지고 1명이 중태에 빠졌다.이 사건의 용의자인 70대 남성은 경찰의 거짓말탐지기 조사를 앞두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이들 사이에 불화가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2018년 `포항 농약 고등어탕` 사건`은 당시 아침식사로 고등어탕을 먹은 주민 A 씨가 구토 증상을 보였다. 경찰 수사 결과 평소 주민들과 갈등을 빚던 60대 남성이 고등어탕에 농약을 넣은 것으로 드러났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