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용묵기자] 경북도는 13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전 세계적인 기후위기와 글로벌 규제 등에 종합 대응하기 위한 `경북형 탄소중립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경북도는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 43% 감축을 목표로, 건물, 수송, 농축수산, 자원순환, 흡수원, 산업부문을 중심으로 46개 세부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다. 목표달성을 위해 청정전환으로 △탄소중립을 위한 지역산업구조 대전환 △녹색기술의 저탄소 녹색성장 체계 구축 △도민공감으로 인식개선과 기후위기 적응 기반 구축 △산림경영으로 지속가능한 탄소흡수원 조성 확보를 4대 추진전략으로 마련했다. 먼저 △건물 부문에서는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건물지원사업, 에너지자급자족인프라구축사업, 그린리모델링지원사업 등을 통해 전망배출량 대비 15만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해 건물의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수송 부문에서는 2030년까지 노후경유차 18만대 폐차, 친환경 수소차 1800대 보급, 친환경 전기차 72000대 보급, 탄소중립포인트제(자동차분야) 27000대 가입 확대 등을 통해 약 34만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계획이다.   또한 △농축수산 부문에서는 축분기반 농업에너지 전환, 양식장 친환경에너지 보급사업, 축분 바이오차 이용 활용화 등의 에너지전환 지원사업으로 약 3만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자원순환 부문에서는 2030년까지 2726억원을 투자해반도체 폐자원에서 실리콘을 추출‧정제해 이차전지 음극소재 원료로 공급하는 첨단전자산업 녹색융합클러스터 등을 조성하고, 유기성폐자원에서 발생된 메탄가스를 활용해 에너지화하는 유기성 폐자원 통합 바이오가스화 설치사업 등을 추진해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분을 최소화할 계획이다.아울러 △흡수원 부문에서는 기후대응 도시숲 조성, 기후위기 대응 미래수종 조림, 자녀안심 그린숲 조성, 숲가꾸기사업 확대 및 바다숲 조성사업과 환동해 블루카본 인프라 조성사업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흡수원을 조성하여 37만톤의 온실가스를 흡수할 계획이다.    또한 도민 생활속에서 탄소중립을 실천할 수 있는 도민공감 생활실천 부문에서는 노후 공공청사에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 설치 지원사업으로 2030년까지 5천kW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해 약 3천톤의 온실가스 감축과 빗물 저장 후 재사용할 수 있는 빗물이용시설 설치사업을 통해 2030년까지 약 3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계획이다.    아울러 수도, 가스, 전기 사용량 감축률에 따라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에너지분야 탄소중립 포인트제 가입확대를 통해 2030년까지 약 5만1천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계획이다. 한편 산업부문의 탄소중립정책은 국가 관리권한이지만, 경북도의 온실가스 배출 특성을 고려해 경북이 주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판단, 전국 최초로 지자체에서 산업부문을 추가했다.   이에 따라 기업별 탄소중립 경영혁신, 에너지 전환, 스마트 제조환경 조성, 탄소무역장벽 해소 등 4가지 전략을 통해 경북도가 주도적으로 온실가스 감축과 기업 동반 성장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산업부문의 추진과제로 △감축전략 컨설팅을 시작으로 △감축사업을 활성화하고 △감축사업을 실증화한 후 △감축활동을 내실화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경북형 탄소중립 프로젝트는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전략으로, 경북도가 탄소중립을 선도하는 핵심지역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이번 탄소중립 프로젝트를 통해 도내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도민, 기업, 행정이 원팀이 돼 탄소중립 대한민국으로 가는 길을 열겠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