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정다원기자]교육부가 `2023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이번 주 발표하기로 했다가 또다시 연기하는 사태로 논란이 일고 있다.
교육부는 후속 조사인 `2024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발표가 불과 두 달도 남지 않아 한꺼번에 발표하겠다는 점을 이유로 내세웠으나, 갑작스러운 연기 배경으론 쉽게 납득되지 않는다는 주장이 나온다.30일 교육계에 따르면 교육부는 지난 26일 오전까지 `2023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31일 발표하기로 했다가, 26일 오후 급작스럽게 결과를 당분간 발표하지 않겠다고 입장을 바꿨다.1년에 두 차례 시행되는 학교폭력 실태조사는 초·중·고교생에게 학교폭력 피해를 본 적 있는지, 어떤 유형의 피해를 봤는지 등을 설문 조사한 결과다. 매년 상반기에 조사가 진행되는 1차는 전수 조사, 하반기에 이뤄지는 2차는 전체 학생의 4%가량을 추출한 표본 조사로 시행된다.교육감이 학교폭력 실태조사를 연 2회 이상 실시하고 그 결과를 공표해야 한다는 `학교폭력예방법`에 따라 교육부는 각 교육청이 조사한 결과를 취합해 1년에 두 차례 발표해왔다. 당초 올 상반기 발표되기로 했던 `2023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는 기약 없이 미뤄져 왔다.올 초 "늦어도 4월 말까지는 (2023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를) 발표하겠다"던 교육부는 실제론 상반기가 지나 7월 말이 돼서야 겨우 발표 날짜를 잡았다. 그러나 불과 몇 시간 만에 이를 뒤집고 발표 시점을 느닷없이 더 미루기로 했다.교육부는 올해 상반기 학생들을 전수조사한 `2024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를 9월에 발표할 예정으로, 이때 `2023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도 함께 발표하는 편이 좋겠다는 내부 판단이 내려졌다고 설명했다.하지만 이미 늦어진 발표를 추가 연기하는 이유로는 다소 궁색해 보인다는 지적이 나온다.교육부가 발표하지 않으면 각 교육청은 1년에 2회 이상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해야 한다는 의무 사항을 지키지 못하게 되는데, 교육부가 이 같은 의무 사항을 교육청이 저버리도록 둔 채 자의적으로 발표 일정을 미뤘다는 것이다.석연치 않은 설명에 일각에서는 지난해 하반기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이 악화하자 교육부가 이를 숨기기 위해 발표를 미루는 것 아니냐는 의심도 흘러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