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정다원기자]밤 온도가 25도를 훨씬 웃도는 열대야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번 여름 들어 열대야 일수는 이미 7일을 넘어서며 `최악의 여름` 중 하나로 기억되는 1994년 이후 30년 만에 최다를 기록했다.올해는 6월 초순께 이른 열대야가 나타난 데다가 무더위도 이제 본격적으로 시작된 터라 역대급 긴 열대야가 될 수도 있다.29일 기상자료개방포털에 따르면 올해 6월 1일∼7월 28일 열대야 일수는 7.1일로, 1994년 8.6일 이후 30년 만에 최다를 기록했다.열대야는 밤사이(오후 6시 1분∼다음날 오전 9시) 기온이 25도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6∼7월 평년(1991∼2020년 평균) 열대야 일수는 2.7일이다. 월별로 보면 평년 기준 6월에는 열대야가 없었고 7월에 2.7일 발생했다.관련 통계를 집계한 1973년 이후 6∼7월 열대야 일수가 가장 많았던 해는 1994년로, 8.6일(6월 0.1일·7월 8.5일)이었다.올해는 6월에 0.1일, 7월에 7일의 열대야가 있었다.가장 더웠던 여름으로 꼽히는 1994년과 2018년 중 2018년 7.1일(6월 0일·7월 7.1일)과 같고 1994년보다는 1.5일이 적다. 다만, 7월이 아직 이틀 남은 만큼 2018년 기록은 넘어설 전망이다.간밤에는 강원 속초(30.6도)와 강릉(30.4도)은 밤 최저기온이 30도를 웃돌며 `초열대야` 현상을 보이기도 했다. 초열대야는 기상학적 용어는 아니나 통상 밤 최저기온이 30도 이상일 경우를 지칭한다.지역별로 보면 곳곳에서 기존 일최저기온 기록을 갈아치웠다.속초는 기존 1위였던 2002년 8월 1일 29.2도를 넘어서며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처음으로 30도를 돌파했고, 동해(29.8도)와 영월(26.1도)도 역대 가장 무더운 밤을 보냈다.기상청은 밤사이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고온다습한 남풍이 계속 들어오면서 낮에 오른 기온이 내려가지 못해 열대야가 나타났다고 설명했다.8월 열대야 일수가 가장 많았던 해는 2018년 9.4일이었다. 1994년과 2022년이 7.9일로 그 뒤를 이었고 두 해는 9월까지 열대야(각 0.3일)가 이어졌다.올해 폭염은 1994년과 2018년처럼 강하게 발달한 고기압의 영향으로 발생한 터라 두 해를 능가하는 무더운 여름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만큼 열대야 역시 길어질 수 있다.현재 우리나라 대기 상층에는 고온건조한 티베트고기압이 자리 잡은 가운데 중·하층에는 북태평양고기압과 중국 남부 내륙으로 상륙한 태풍이 함께 영향을 미치면서 고온습윤한 공기를 불어 넣고 있다.